국제전시컨벤션센터 중투 통과 의미와 과제

`마이스 도시` 대전 건설에 청신호가 켜졌다.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이 행정자치부 중앙투자심사 통과로 본궤도에 오르며 다양한 파급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이번 컨벤션센터 중투심사 통과는 지역 관·정간 유기적 협력으로 일궈낸 성과라는 점에서 다른 현안사업 해결의 모델이 될 전망이다. 엑스포 재창조 사업의 `마지막 퍼즐`인 컨벤션센터 사업 중투심사 통과가 갖는 의미와 앞으로의 과제 등을 짚어봤다.

◇대전 관·정 협치 성공 모델 =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구상이 나온 것은 지난 2012년이다. 건립타당성 조사를 거쳐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기획재정부 예타 대상사업 선정, 건립규모 축소에 따른 예타 조사 철회 등을 거치며 최종 행자부 중투심사 통과를 통해 국비 반영 여부를 확정키로 결론이 났다. 각각의 과정에서 컨벤션센터 건립은 어려움에 봉착할 때도 있었다. 타당성 검증 등을 거치며 사업 표류 우려가 제기됐던 것.

위기 극복의 힘은 대전지역 관·정의 유기적 협력에서 나왔다. 권선택 대전시장을 비롯한 공무원들은 컨벤션센터 건립의 타당성을 뒷받침할 논리로 정부를 설득했다. 또 지역 정치권은 지원사격을 아끼지 않았다. 권 시장을 비롯해 이택구 기획조정실장, 정재용 국제협력담당관 등 공무원들은 틈날 때마다 정부와 전방위로 접촉하며 당위성을 설명했고, 더불어민주당 박병석·조승래 의원과 자유한국당 이장우 의원 등은 각각의 인맥을 총동원해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다. 이 과정에서 지역 출신 비례대표인 자유한국당 유민봉 의원도 힘을 보탰고, 시 정무직인 박영순 정무특보는 중앙 정치권 인맥을 총동원해 세 몰이에 나섰다. 결국 지역의 노력은 컨벤션센터 건립을 통한 마이스 도시 건설의 주춧돌을 놨다. 이는 향후 다른 현안 사업 해결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마이스 산업 활성화 전기= 컨벤션센터 사업 본궤도 안착은 `마이스 산업 불모지`라는 오명을 씻을 절호의 기회다. 대전은 무역전시관을 제외하고 반경 120㎞이내에 전시시설이 전무, 마이스 산업이 뿌리내릴 수 없는 곳으로 분류됐다. 사통팔달 교통망,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잇점에도 불구하고 관련 인프라 부족으로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 등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것.

이 때문에 이번 컨벤션센터 사업 `물꼬`는 정부부처 세종시 이전에 따른 정부수요에 대응한 전시공간을 확충하고,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중부권의 열악한 전시공간을 확충할 전기로 평가된다. 또 대전 유일의 컨벤션 시설로 분류되는 무역전시관 건물의 노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을 해소할 대안으로도 꼽힌다. 특히 새롭게 사업이 추진되는 컨벤션센터의 경우 인접한 DCC와의 기능 분배 등을 통해 적잖은 시너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련 인프라 확충 `넘어야 할 산` = 컨벤션센터 중투심사 통과로 사업 추진의 물꼬는 텄지만, 풀어야 할 과제가 없지만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접근성이다. 현재 컨벤션센터 사업 대상지의 경우 대중교통 운행이 적고, 컨벤션 수요를 충당할 만큼의 주차 시설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접근성이 떨어지면 아무리 좋은 시설을 갖추고 있더라도 집객을 할 수 없어 대중교통 및 주차장 확충 문제를 풀어야 한다.

이에 대해 권선택 대전시장은 "지하주차장 계획이 있고, DCC와 지상주차장도 있어 건설 계획을 수립하며 수정해 나갈 수 있다"며 "엑스포를 지나가는 교통연계망 확대를 검토하겠다. 셔틀버스나 트램 지선을 만드는 것을 추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성희제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성희제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