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기간 경과 등으로 인한 폐의약품 수거를 담당하고 있는 약국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폐의약품의 양은 늘고 있지만 수거 이후 절차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불편을 겪기 때문이다.

22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폐의약품 회수·처리 사업`(이하 회수·처리사업)을 통해 지역에서 처리된 폐의약품은 지난해 약 35t, 2015년 약 35t, 2014년 약 33t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9년부터 본격 시행된 회수·처리사업은 폐의약품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토양 및 수질오염 예방 등을 위해 마련됐는데 현재 시와 시약사회 등 기관이 협력해 추진하고 있다.

지역 내 689개의 약국에서 의약품 복약 지도와 함께 폐의약품 수거를 담당하고 있으며 각 구의 의약품 도매 업체들이 이를 운반, 최종적으로 관할 구에서 소각 처리하는 절차로 이뤄진다.

하지만 폐의약품 수거 이후 대부분의 운반·소각 절차가 분기별 한번, 한 해에 총 4회 정도밖에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역 내 약국은 공간 부족 등 문제를 겪고 있다. 폐의약품 수거함은 가로·세로 20여㎝에 불과하지만 수거되는 양이 많아 수거함 외에도 별도의 보관용 박스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

지역의 한 약사는 "약국은 공간 자체가 작기 때문에 많은 양의 폐의약품을 보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며 "특히 여름철에는 수거된 폐의약품에서 나는 악취가 약국을 가득 채워 숨 쉴 때마다 불쾌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약사는 "폐의약품 수거함에 있는 약을 가져가 복용하겠다는 어르신이나 그 안에 약이 아닌 일반쓰레기를 버리는 분들도 있다"며 "약사들 사이에서는 `왜 지자체가 아닌 약국에서 이런 일을 해야 하나`하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약사회는 지난해부터 수거처리 담당부서, 수거일정, 수거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근거 등 내용을 담은 `불용의약품 등의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을 각 지역 약사회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강동구, 부산시 해운대구, 인천시 계양구, 충남 계룡시 등 40여 개 지자체에서 해당 조례를 제정·시행 중이다.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