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어제 전국위원회를 열어 당명을 자유한국당으로 최종 확정했다. 지난 2012년 2월 13일 한나라당이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바꾼지 5년만의 일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여파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와 집권여당의 분화를 겪으면서 이반된 민심을 되돌리고자 하는 쇄신작업의 일환이라고 한다.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과 공동운명체다. 박 대통령은 2012년 한나라당이 위기에 봉착하자 비대위원장을 맡아 새누리당으로 이름을 바꾸고 19대 총선에서 승리했다. 여세를 몰아 18대 대선에서는 대권을 차지했다. 박 대통령은 이후 최대 주주로 새누리당을 이끌었다. `친박당`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그 세력은 막강했다. 자유한국당 개명이 그런 이미지를 지우기 위한 조치로 인식되는 이유다.

새누리당이 새롭게 태어나기 위한 몸부림은 인명진 비대위원장 체제로 들어서면서 본격화됐다. 정치·정당·정책 등 이른바 3정 혁신을 이뤄내겠다는 쇄신안을 발표했다. 급기야 이름까지 바꿨다. 그러나 친박당이라는 이미지를 탈색시키기에는 한참 부족해 보인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묵인하고 방조한 세력에 대한 인적 청산이 없다는 점이 우선 문제다.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의 당원권을 정지한 것이 고작이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탈당을 권유했다고는 하지만 대답 없는 메아리가 됐고, 다시 이를 거론하는 분위기도 감지되지 않는다. 아직도 장막 뒤에 몸을 감추고 있는 친박 세력에 대해서는 모두 언급을 꺼리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당 지지율이 회복되면서 보수진영의 주도권을 잡았다는 생각 때문인지 자유한국당 행보는 과거로 회귀하는 것 같다. 촛불집회에 맞선 태극기집회에 당내 인사들의 참석이 부쩍 늘었다. 발언 수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들의 `박근혜 구하기`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당의 쇄신 노력과는 역행하는 모양새다. 자유한국당이 보수의 적통이자 구심점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자기희생이 필요하다. 그 첫발은 `친박당`이란 이미지를 탈색하는 것이다. 이는 과거에 대한 반성과 인적 청산이 뒤따를 때 가능하다. 정책 등의 쇄신은 그 다음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