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은 발굽이 2개인 소·돼지·염소·사슴·낙타 등 우제류 동물의 입과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긴 뒤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가축의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 전염병이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강하다.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 감염된다. 이 때문에 무리에서 한마리가 감염되면 나머지 가축에게 급속하게 감염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4년 처음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후 66년 만인 2000년 경기도 파주 지역에서 발생해 충청도 지역까지 확산돼 큰 피해를 봤다. 2011년에도 한국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전국적으로 확산돼 약 300만 마리의 가축이 매장된 바 있다. 이후 잠잠하다가 3년 후인 2014년 또 다시 발생한 뒤 구제역은 해마다 고개를 드는 현실이다.

올해에도 구제역이 또다시 발생했다. 예방, 차단이란 용어가 무색할 정도로 바이러스가 번지고 있다. 이쯤이면 연례행사나 마찬가지다. 천문학적인 피해를 당하면서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는 청정국으로의 길은 제자리다. 충북 보은부터 시작된 구제역은 이미 전국 농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방역당국의 조치와 각 지자체의 선제대응도 다시 번지고 있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동안 정부와 농가의 예방책도 제각각이어서 유·무형의 피해를 감수하며 구제역 학습을 또 다시 해야 할 처지다. 그나마 기대했던 백신조차도 맹물백신 논란이 한창이다. 구제역과 싸우기보다는 더 이상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는 차근차근 대한민국 전 영역으로 번지고 있다. 농가에게는 시련을, 국민에게는 경제적 부담을 무엇보다 한국산 젖소에 대한 불안함을 안겼다. 이는 경제적인 수치로 환산할 수 없다. 만약 소보다 전염력이 높은 돼지까지 전염되면 올해 겨울은 조류인플루엔자 사태와 맞물려 이로 인한 각종 변화는 사상 최악의 환경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방국당국은 구제역이 다른 지역 소나 돼지로 전파되지 않도록 방역망을 총가동 해야 한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맹물백신 논란을 잠식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가축 환경에 맞는 백신 개발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이번 구제역을 통해 얻은 학습효과가 철저한 예방과 발병 시 강력한 초등 대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져야 한다.

김대호 지방부 청주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