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통해 한반도의 긴장수위를 고조시키고 있다. 북한은 어제 평안북도 방현에서 동해상으로 사거리 500여km에 달하는 탄도미사일 한 발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사거리로 볼 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아니고 노동급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새로운 종류의 미사일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 시점이 미국의 정권교체 이후 처음이자 미·일정상회담이 열리는 기간에 이뤄졌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에 긴장을 조성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반응을 떠보기 위한 의도된 도발이 아닐 수없다.

물론 북한의 도발에 대해 즉각적이고 강력한 규탄과 대응방안 모색이 이어졌다.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은 마이클 플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도 "올 들어 최초로 감행된 도발행위에 강력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하에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상회담중인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것"이라며 "유엔안보리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제는 한·미·일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어떻게 대처하느냐 일 것이다.

트럼프 취임이후 북핵·미사일에 대한 미국의 대응분위기는 한층 강경해진 게 사실이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지난 8일 청문회 서면답변에서 `북핵·ICBM과 관련 군사적 수단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확실히 방향을 잡은 것도 아니다. 북한도 미국의 이러한 기류를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평소와 다르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트럼프의 한반도 정책을 시험대에 올려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향후 북한의 도발수위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북한의 노림수에 넘어가지 않으면서도 냉철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보여줘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