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마을은 함경도 함경산맥 북쪽 산기슭에 있는 마을이었다. 첩첩산중이었으며 서른 채쯤 되는 초가집들이 온통 잡초에 덮여 있었다.

그런데 정조가 즉위한 1776년 가을 마을에 관리들이 들이 닥쳤다. 그런 외딴 마을에 그렇게 많은 관리들이 오는 일은 드믄 일이었으며 촌장을 비롯한 온 마을사람들이 모두 나가 마중을 했다.

관리들은 군관 한 사람과 군졸들이었으며 그들은 유배수 한 사람을 데리고 왔다.

군관은 유배수를 포박하지 않고 존댓말을 쓰고 있었다. 유배수는 죄인이지만 양반이기 때문이었다. 유배수는 마을 어귀에 있는 오두막으로 안내되었다.

오두막은 방 하나 부엌 하나뿐이었으며 대문도 담장도 없었다. 군관은 갖고 온 몇 포기의 탱자나무들을 집 주위에 심어 놓고 그 집이 유배수가 살 집이라고 말했다. 군관은 촌장에게 말했다.

"이건 고을 수령님의 지시이니 잘 들어라."

촌장과 그 마을 사람들은 앞으로 그 집에서 살게 될 유배수가 유배가 풀릴 때까지 그 집에서만 살도록 감금하고 식사를 제공해야 된다는 말이었다. 유배가 언제 풀리는지는 알 수 없었다.

유배란 죄는 사실상 종신형이었는데 국가는 유배수를 직접 다루지 않고 유배수를 다루는 책무를 지방 군수에게 맡겼다.

그리고 그 책임을 맡은 군수는 관하에 있는 외딴 마을의 촌장에게 그 책임을 떠넘겨 종신형을 받은 유형수가 죽거나 유배가 풀릴 때까지 감금하고 식사를 제공해야만 했다.

유배수란 그렇게 세계에서 유례 없는 형벌이었다.

그때 잡초마을에 유배수를 데리고 온 군관과 군졸들도 그렇게 촌장에게 유배수를 넘겨 놓고 모두 가버렸다. 나머지는 촌장이 알아서 하라는 말인 것 같았다.

유배수는 관복도 입지 않았고 양반 옷도 입지않았으나 어딘지 모르게 품위가 남아 있었다. 아직 30대로 보여졌는데 키가 크고 건장한 몸이었다.

"나리 방으로 드시지요."

좁은 방이었으나 깨끗하게 새 멍석이 깔려 있었다.

촌장은 담배쌈지와 부싯돌 재떨이를 내놓았다.

"고맙구만…. 이 집주인은 없소."

"늙은 포수가 혼자 살고 있었는데 몇 년전에 범 사냥을 하다가 죽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비어 있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방의 선반에 칼 한 자루가 놓여 있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