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

태양이나 큰 질량의 행성에 대해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를 가지고 도는 태양계 내에 속한 작은 천체, 우리가 알고 있는 `혜성`의 사전적 의미다. 하지만 수천 년 동안 대중들에게 혜성은 과학적으로 실재하는 존재보다는 불길한 전조와 상징, 악령으로 보는 신비주의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하지만 16세기 덴마크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가 혜성은 지구 대기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천체의 일종임을 밝혀냈고, 이후 영국 천문학자 핼리는 혜성이 태양계의 구성원임을 입증해냈다.

혜성은 인류 역사상 밤하늘에서 목격할 수 있는 최고의 장관 중 하나였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는 공포와 두려움, 신화와 예언, 시와 그림, 그리고 호기심과 의문이 남았다. 특히 과학자들은 뉴턴 역학의 살아 있는 증거로, 태양계의 시원 물질을 고스란히 간직한 코스모스의 화석으로, 또 지구에 생명의 씨앗을 전해 준 요정으로 혜성의 과학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 무엇보다도 혜성은 지구상에 있는 왜소한 인간의 존재와 우주 간의 긴밀한 연결성을 상기시킨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코스모스(Cosmos)`의 저자 칼 세이건이 자신의 부인이자 과학 다큐멘터리 `코스모스`(1980, 2014년)의 제작자로 명성이 높은 앤 드루얀과 함께 쓴 `혜성(Comet)`은 혜성과 관련된 모든 과학 지식을 비롯해 역사, 인문, 예술, 문화를 망라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혜성의 본질`은 혜성에 매료된 위대한 과학자들의 노력과 열정으로 오랫동안 미신과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혜성이 과학적 탐구 대상이 되는 과정, 과학이 밝혀 낸 혜성의 구조와 성분을 소개한다.

1장 `혜성에 걸터 앉아`에서는 혜성과 함께 떠나는 가상의 태양계 여행이 한 편의 드라마처럼 펼쳐진다. 2장 `불길한 징조`는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포와 미신, 두려움과 재앙의 전조로 간주되었던 혜성이 데모크리토스, 아폴로니오스, 세네카와 같은 선구자들의 연구와 통찰로 과학의 영역에 편입됐다고 서술한다.

3장 `핼리`는 뉴턴의 조력자로서 `프린키피아`의 출간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뉴턴의 운동 법칙을 사용해 혜성들의 궤도를 분석하는 것은 물론 핼리 혜성의 존재를 밝히고 그 귀환을 예측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를 재조명한다.

4장 `귀환 시기`는 핼리 혜성이 예측대로 귀환함으로써 미신에 대해 과학이 승리했음을 알린다. 5장 `방랑자 혜성들`에 이르면 인류는 과학적 추론을 통해 혜성들이 지구 대기에서 발생하는 기상 현상이나 목성에서 튀어 나온 천체가 아닌, 태양계 변방에서 지구를 방문한 성간 우주의 사절임을 이해하게 된다.

이밖에 2부 `혜성의 기원과 운명`은 혜성의 생성과 소멸을 각각 태양계의 진화와 대멸종과 관련지어 설명하며, 3부 `혜성과 미래`는 우주 탐사 시대에 혜성의 가치와 의의, 전망을 논의한다.

`코스모스`, `창백한 푸른 점`과 함께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3부작`을 구성하는 이 책에서 독자들은 시대를 초월하는 칼 세이건의 뛰어난 상상력과 깊은 통찰을 수려하고 우아한 문체로 만나 보게 될 것이다.박영문 기자

칼 세이건·앤 드루얀 지음·김혜원 옮김/ 사이언스북스/ 488쪽/ 4만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