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보복이 갈수록 노골화되고 있다. 한국산 화장품에 이어 양변기도 품질불량을 이유로 무더기로 수입을 금지했다고 한다. 중국이 내세우는 표면상의 이유는 표시 결함과 전기적인 문제다. 하지만 106개 조사대상 가운데 불합격 제품이 47개인데 이중 43개가 한국산이다. 불합격 업체도 24곳 중 한국이 22곳이나 되고 대만이 2곳이다. 유독 한국 업체, 한국산 제품이 주요 표적이 된 것을 보면 사드 문제로 인한 보복성 조치임을 쉽게 알 수 있다. 한두 번도 아니고 한국제품에 지속적으로 트집을 잡는 것은 경제 대국답지 못한 치졸한 보복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중국의 보복성 조치는 경제와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직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사드 배치가 결정된 이후 중국내 롯데 사업장에 대한 대대적인 세무조사를 벌였고 한류 연예인의 방송과 광고출연도 금지했다. 자국민들이 한국여행을 못하게 전세기 운항도 불허했다.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유명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서도 무더기로 수입을 불허하는 바람에 11톤이 넘는 제품이 반품되기도 했다. 문제가 없었던 제품도 규정강화 등을 내세워 불합격처리를 하는 방식이다. 처리 기준도 세계가 인정하는 국제표준이 아니라 중국의 잣대로 이뤄지고 있다. 문제는 한국의 기업들로서도 마땅히 대처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 같은 조치가 또 이뤄진다 해도 당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중국은 우리 수출의 26%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이다. 잇단 수입규제는 국가경제 전체에 심각한 타격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정부와 기업도 적절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부당한 조치는 항의를 하고 사드 문제와 경제를 분리할 수 있도록 중국을 설득도 해야 한다. 정치권도 한 목소리를 통해 정부와 기업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지나친 중국 수출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쉽지는 않겠지만 유럽과 중동 등으로 수출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 기업은 더 이상 꼬투리를 잡히지 않도록 규정을 준수하고 품질로 승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