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새로운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상준 교수 연구팀(포항공대)은 맹그로브와 같은 염생식물 뿌리의 메커니즘을 모방해 별도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생체모방형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염분이 많은 해안지역에서 자라는 대표적 염생식물인 맹그로브 뿌리를 생체모방해 실험한 결과 기존의 해수담수화 기술과 유사한 물 정화 성능(96.5% 염분 제거)을 보였다.

기존의 해수담수화 기술은 0.5-1.2㎜ 정도의 아주 얇은 막인 멤브레인에 나 있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구멍에 바닷물을 통과시켜 정화시키는 기술이어서 막대한 전기에너지가 필요했다.

반면 이 교수팀에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이전보다 10배 이상 큰 구멍에 물을 통과시키는 기술이어서 전기에너지가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또 이전과 달리 소금이 멤브레인 막에 소금이 유착돼 물의 흐름을 막는 파울링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교수팀의 기술은 제작과정도 간단하고 작은 규모의 설비로 구동이 가능해 오지와 같은 작은 마을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차별화된 특색 있는 전략으로 새로운 개념의 담수화 기술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이전 및 상업화의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맹그로브 뿌리의 물 정화 매커니즘을 생체모방한 새로운 멤브레인 기술을 도출하여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 기술은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다"며 "앞으로 해수 담수화를 통해 생활용수, 농업용수, 식수를 바닷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물 부족 사태는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전 세계적 문제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오는 2026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60%가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닷물 담수화 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해수담수화 방법은 과다한 에너지 사용, 제3국가나 오지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점 등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