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인 1997년 1월 중순에는 굵직한 이슈들이 눈에 띈다. 1997년 1월 17일자 대전일보는 엑스포과학공원의 민영화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엑스포과학공원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대전 시민들에게는 의미가 깊다.

1993년 유성구 도룡벌에서 펼쳐진 `대전 엑스포93`의 영광을 재현하고 중부권 중심도시의 볼거리로 유지하기 위해 1994년 과학공원이 재개장했다. 그러나 관람객 수는 급격히 줄고 적자로 재개장 2년여 만에 위기에 처한다. 볼거리가 없는데다 입장료·관람료가 비싸고, 부실한 전시관 운영 등을 이유로 관람객들로부터 외면을 받으며 자칫 흉물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자 경영정상화 방안을 검토한다. 통상산업부는 엑스포과학공원의 운영방식 전환 문제를 놓고 정부직영, 완전민영화, 공사설립 등 3가지 방안을 검토한 후 매각을 통해 완전민영화하는 방향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엑스피아 월드에 위탁경영해오던 계약을 해지한 뒤 경영능력이 있는 민간기업에 매각해 과학공원의 경영을 정상화한다는 것이 골자다. 민간기업이 매수할 경우 수입을 늘리기 위해 각종 시설과 유인책을 도입, 경영상태를 흑자로 돌리겠지만, 당초 목적인 국민 과학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1월 24일자 대전일보에는 한보철강 부도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기도 했다. 당시 부도로 쓰러진 한보 금융사고는 국민에게 큰 충격과 걱정을 준 사건이었다. 과도한 금융부채로 15억 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하면서 보람은행에서 부도처리됐다. 한보철강은 5조원 이상의 금융부채를 안고 있었다. 부채비율만 2000%에 달하고 매년 원리금상환 부담만 5000억 원이 넘을 정도였다. 한보철강의 부도로 23개 계열사 및 하청업체로의 연쇄부도 사태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정부와 채권은행단은 하청업체들의 연쇄부도 등 한보철강이 무너진 데 따른 사회·경제적 파장을 줄이기 위해 법정관리 신청을 내고 채권·채무 동결절차에 들어가기로 했다. 채권은행단은 채권자대표회의를 열고 부도처리 이후 자금 지원 등 사태 수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한다. 이와 함께 특혜의혹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정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