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어제 서울대 폐지라는 초강수 교육개혁 공약을 제시했다. 대학서열화를 해소하려면 공공의 적인 서울대를 없애야 한다는 논리고 수능의 경우에는 대입자격고사 형태로 대체하겠다고 했다. 대선 주자라면 자유롭게 교육 관련 공약을 내걸어 유권자 판단을 받을 필요가 있다. 다소 신선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사회적 충격파가 예상되는 논쟁적 이슈라는 점에서 공론의 장을 열어놓는 것 자체는 나쁘지 않다.

서울대를 폐지하려면 할 수는 있다. 전국 국·공립대를 한덩어리로 묶어 통합캠퍼스로 운영하자면 못 할 것도 없다. 그런 다음, 충남대를 예로 들면 서울대 충남캠퍼스로 간판을 바꿔 달게 하고 교육과정, 학사관리, 학점 교류를 시행하는 식이다.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전국 국·공립대의 서울대화(化)라 할 만하고 언뜻 대입 수험생의 최상위 포식자였던 서울대가 혁파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런다고 대학서열화 구조와 갖가지 부작용이 해소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서울대 서울캠퍼스와 서울대 충남캠퍼스가 간판 하나 공유한다고 동렬에 선다는 보장이 없을 뿐더러 교육서비스의 질 격차 문제도 금세 혁파된다고 보기 어렵다.

이런 서울대 폐지 구상은 파리대학교를 파리 1 대학, 파리 2 대학 하는 식으로 분할해 운영되는 시스템을 흉내 내려는 발상이 아닌가 싶다. 서울대 폐지라는 게 알고 보면 서울 1 대학을 서울에 두고, 나머지 지방 소재 국·공립 대학을 상대로 2번부터 순번을 매겨 보면 파리대학 닮은 꼴이기 때문이다. 이게 맞다면 박 시장은 껍데기만 모방한 것에 불과하다. 분할 되기 전 파리대학교는 전국 재학생의 30%가 몰려있는 초비만 대학이었다. 불가불 몸집을 줄이기 위해 파리대학 이름을 공유하면서 학군별 캠퍼스에 1 대학, 2 대학 식으로 부르게 됐다.

게다가 프랑스는 고교 졸업장 쥐기가 하늘에 별 따기이고 유급율도 높은 편이다. 대학 진학에 목을 매는 우리 실정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이런 전제 조건과 환경을 감안하지 않은 채 파리대학 모델을 이식하려는 것은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