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실업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 '2016년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실업자가 101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6000명 증가했다. 연간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것은 구직기간을 4주로 잡고 고용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초라고 한다. 15세에서 29세 사이 청년층 실업자도 43만5000 명으로 사상 최대이고 특히 20대가 40만 8000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사회 진출할 나이인 20대 실업자가 4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역대 처음이다. 청년실업률은 9.8%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10%에 육박했다. 사실상 실업자인 취업 준비생까지 포함하면 청년층 실업률은 더욱 높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실업자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이유는 조선·해운 등 구조조정으로 중·장년층이 일자리에서 쫓겨나는 것을 들 수 있다. 경기가 나아질 조짐을 보이지 않고 불확실성은 커지면서 기업들이 신규 투자와 직원 채용을 꺼려 대학을 졸업하거나 졸업을 앞둔 청년층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올해 더 심각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책·민간 연구기관들은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야기된 국정마비 사태와 대선, 국제경기 침체 등 대내외 악재로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돼 고용 한파가 더 강하게 몰려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차치하고 있는 일자리를 지켜내기도 버거울 것이란 비관적인 예측이 더 많다.

일자리는 가계소득의 원천으로 서민경제 버팀목이자 경제성장 핵심요소다. 일자리가 없는 사람이 많으면 소비가 줄어 내수침체로 이어진다. 이 악순환이 반복되면 경기가 불황국면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정부도 국정운영 중심을 일자리 창출에 두고 예산, 세제 등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일자리 창출은 경기를 살려 기업들이 투자를 확대, 고용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글로벌 기업들에게까지 제품을 미국에서 만들고 미국인들을 고용하라고 엄포를 놓는 이유를 곰곰이 새겨봐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