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이 4당 체제로 재편되면서 회오리를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이 27일 집단탈당을 결행하면서다.

크게 보면 1987년 민주화 개헌 이후 1988년 제13대 총선을 전후해 만들어진 4당 체제가 1990년 보수 `3당 합당`을 거쳐 양당 체제로 재편된 지 26년만이다.

4당 체제가 되면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원내 1·2당 지위가 바뀌었고, 이전까지 제3당으로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던 국민의당은 새로운 좌표 모색이 불가피해졌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 국면이 전개되는 가운데 정국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게 됐다.

당장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사이의 호남 쟁탈전과 진보 성향 지지층 확보 경쟁, 그리고 새누리당과 신당 사이에 벌어질 영남 쟁탈전과 보수층 구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국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불확실성`이다.

그동안 대선의 경우 보수와 진보, 영남과 호남으로 양분돼 건곤일척의 승부를 벌였으나 이제 과거와는 달리 이념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예측불허의 상황이 펼쳐질 전망이다.

향후 정계개편의 핵은 개혁보수신당(가칭)이 될 것이라는 게 여의도 정치권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우선 `제3지대론`을 내세운 국민의당에 이어 신당이 정통보수 복원을 기치로 중도세력과 연합에 나설지가 관심이다.

이 경우 국민의당과 신당, 기존 정치권에 거리를 둬 온 군소 대권주자들이 여야의 주류세력인 `친문(친문재인)·친박(친박근혜)` 세력과 대척점에 서면서 이른바 `구체제 척결`을 명분으로 손을 잡는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두 정파는 이념적으로 중도 성향이라는 점에서 공감의 폭이 좁지 않은 데다 지역적으로 각각 호남-수도권 기반과 영남-수도권 기반을 하고 있어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평가다.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이 촉각을 곤두세운 채 양당의 행보를 주시하는 이유다.

10여 일 뒤 입국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거취에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민심 청취 시간을 가지며 정치권 외곽에서 숨 고르기를 할 것으로 보이지만 입국을 전후해서는 새누리당 내 비주류 잔류파들의 탈당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반 총장과 오랜 시간 가깝게 지낸 새누리당 정진석 전 원내대표 등이 어떤 식으로든 결단을 내릴지 지켜볼 일이다.

개헌론도 정국의 주요 변수다.

새누리당 및 민주당과는 달리 국민의당과 신당은 개헌에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입장이어서 개헌공론화를 고리로 제3지대 만남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국회 운영과 관련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여의도에 4당 체제를 경험한 의원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대화를 통한 정치력 발휘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양당구도가 허물어져 민생을 매개로 상생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활발해질 것이라는 말들이 나온다.

서울=송신용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신용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