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대전 이전후 발전기술 자립 기여 사용후핵연료 반입 문제 불거져 주민 불안 원자력 관리기술 연구 위한 임무수행 해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금부터 57년 전인 1959년에 창설되었다. 앞으로 3년 뒤인 2019년이 되면 60주년이 된다. 서울 공릉동에 있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로부터 약 17만㎡의 부지를 할애받아 설립되었다. 그 당시 우리나라의 일인당 국민소득은 50달러 근처였다. 비록 미국의 원조가 있었다지만 무려 73만 달러가 넘는 연구용원자로인 트리가 마크 2까지 건설하였으니 그 당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수준으로 보면 큰 사치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있다. 당시의 이승만 대통령이 미국의 원자탄으로 일본이 망하는 것을 보고 우리나라도 원자력을 해야 되겠다는 생각을 한 후에 원자력연구소를 창설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대전으로 이전한 것은 1980년대 초다. 대덕연구단지가 조성되던 시기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여러 가지 이유로 연구단지에서 조금 떨어진 현재의 유성구 덕진동 인근 약 82만㎡의 부지에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의 1년 예산은 약 5000억 원으로 연구원이 속해 있는 유성구 전체 예산과 비슷한 수준으로 알고 있다. 부지 내의 총 근무 인력은 약 2000명이다. 지난 57년 동안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우리나라에 기여한 것은 매우 많다. 그 중에서 가장 큰 기여는 바로 원자력발전기술을 자립한 것이 아닐까 한다. 우리가 값싼 국산의 원자력전기를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1호 연구소 기업을 만들어서 지역 경제에도 크게 기여를 하였다.

그러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존재가 주민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난리가 났다. 벌써 두 번째이다. 첫 번째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레이저로 우라늄 농축이 가능한지를 시험해 보았던 시료를 분실한 사건과 관련이 있었다. 그 시료의 방사능 준위는 자연방사능 수준이어서 특수한 용기가 아닌 엄지손가락 크기의 유리병에 담겨져 있던 시료였다. 이번에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후핵연료의 실험을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들여온 것과 관련이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들여온 사용후핵연료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연소 중에 파손이 되어 그 파손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 시설이 있는 이곳으로 들여온 경우이고, 또 다른 하나는 핵연료주기기술의 확립을 위한 연구개발용이다.

북한에서는 이런 사용후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여 핵폭탄을 만들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만 관심이 있기 때문에 플루토늄을 추출하지 않는다. 사용후핵연료의 처리·처분을 위한 연구개발도 필요하고 재활용을 위한 연구개발도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후핵연료는 방사능 준위가 높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이를 잘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개발을 해야 하는 곳이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반대해서 일부 주민들이 그 지역에서 나가라고 한다면 과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난감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래 사용후핵연료를 다룰 수 있게 정부로부터 허가된 출연연구기관이다. 그리고 사용후핵연료를 이동하려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미국 등 관련국과 기관에 통보를 하고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동을 하게 되어 있다. 북한의 경우처럼 사용후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이라는 핵폭탄의 원료를 추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몰래 숨겨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리고 현실성이나 위험도에서 북한의 핵폭탄이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연구하는 사용후핵연료보다 훨씬 더 위험하지 않을까 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전할 당시에는 주변이 지금과 많이 달랐다. 유성과 신탄진을 연결하는 국도는 가로수가 매우 좋은 2차선 도로였다. 우리나라 유일의 국산 연구용원자로인 하나로가 들어설 때만 하더라도 주변에 아파트가 하나도 없었다. 그 이후에 들어선 아파트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 근무하는 연구원과 가족들도 주민들과 같이 살고 있다. 그동안 묵묵히 국가에서 부여된 임무에만 충실했던 연구원과 그 가족들에게 격려를 보낸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초빙전문위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