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방사성폐기물 보관 정부 근본 대책없어 우려 확산 시민들 관리방식 등 강력 반발

최근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이전부터 손상 핵연료를 포함한 다량의 사용후 핵연료를 운반·보관해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지역 사회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20일 대전시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에 주민들의 규탄현수막이 걸려있다.  빈운용 기자
최근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이전부터 손상 핵연료를 포함한 다량의 사용후 핵연료를 운반·보관해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지역 사회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20일 대전시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에 주민들의 규탄현수막이 걸려있다. 빈운용 기자
대전에 반입된 사용후핵연료의 안전성에 대한 지역민들의 불안감이 거세지고 있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중간저장시설이 완공되는 2035년까지는 대전지역 내 보관해야 하기 때문이다.

20일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에 따르면 원자력연 내 보관 중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은 3.3t(1699봉),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1만 9704드럼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 폐기물은 방사능 함유량이 높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과 방사능 함유량이 낮은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구분된다. 원자력연은 원자로에서 연소된 뒤 꺼낸 사용후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경수로용 사용후핵연료의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조사후연료시험시설(PIEF) 내 보관 중이다. 시설 내 수조를 만들어 물을 채워넣고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사용한 작업복, 장갑이나 덧신 등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현재 물리적방호구역 내의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에 보관돼 있다.

문제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경우 보관할 시설이 없어 빨라도 중간저장시설이 완공되는 2035년까지 대전에 보관해야 하는 데다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도 떠안고 있다는 점이다.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매년 800드럼씩 경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으로 옮기고 있지만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행계획에 따라 2035년까지 이송한다는 게 목표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칫 방사성 물질 유출로 인한 위험 노출에 대한 인근 지역민들의 불안감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날 유성구 관평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주민 설명회에서 원자력연의 사용후핵연료에서 우라늄을 분리하는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설명에 이어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주민들의 질의가 이어졌다.

유성핵안전시민대책본부 이경자 집행위원장은 "2013년까지 사용후핵연료가 대전지역으로 반입된 것에 대한 상황 설명이 있어야 하는 데 주민들은 최근에야 알게 됐다"며 "이 일대는 인구 밀집지역이다. 주민 입장에서는 만약 사고 발생 시 재난 문자 시스템 등 어떻게 대응하는 지에 대한 것도 모르고 있는 데 이에 대한 책임있는 답변이 필요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 다른 주민은 "위험한 핵폐기물이 대전지역에 오게 된 경위와 함께 이에 대한 주민 동의를 얻었느냐"고 지적한 뒤 "안전성 문제도 원자력연 측에서는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말하는 데 보관 방식 등 솔직히 이해가 안된다"고 말했다.

사용후핵연료의 추가 반입 여부도 도마위에 올랐다.

이에 대해 원자력연 송기찬 핵연료주기기술개발본부장은 "파이로프로세싱 실험을 위한 사용후핵연료 반입 계획은 없다. 연구 목적으로 만약 추가 반입 계획이 있게 된다면 주민과 상의를 거칠 것"이라면서 "이송 루트는 테러 등 문제로 공개할 수 없지만 어디서 얼마의 양이 왔는 지에 대해선 알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