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대전시가 도시철도2호선 트램노선을 확정 발표했다. 민선5기때 결정됐던 자기부상열차 건설방식을 권선택 시장이 트램방식으로 변경한 뒤 1년 7개월여만이다. 이날 발표된 트램노선은 대전을 원형으로 도는 순환선 형태다. 그동안 도시철도의 혜택을 받지 못한 서구 관저지구, 동구 자양지구, 대덕구 중리지구 뿐만 아니라 도안지구 등 신도심까지 아우르는 총 연장 37.4㎞에 정류장 34개소가 설치된다. 트램은 사업비 6649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하지만 트램이 개통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아 보인다. 우선 충청권 광역철도와 교통수요가 중복되는 가수원네거리-서대전역 5km 구간을 늦게 착공하는 점에 대해 해당 지역주민들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권 시장이 동시개통을 약속했지만 도시철도 1호선 노선이 1년 1개월의 시차를 두고 개통한 전력이 있는 만큼 주민들로서는 착공지연이 개통지연으로 여길 개연성은 충분히 있다. 예비타당성 재조사 역시 쉽게 볼 문제는 아니다. 대전시는 고가방식에서 트램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사업비가 58% 절감돼 국가예산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예타재조사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예타 대상의 본질이 바뀐 만큼 원점에서부터 검증을 받아야 할 지 모르는 상황이다. 배터리 충전방식의 무가선 트램을 도입하는 부분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무가선 트램은 전력공급선이 없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전세계적으로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신개념의 트램방식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가선 방식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노선의 최종확정은 본격적인 트램시대를 알리는 서막이다. 이제부터는 돌 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야 한다. 무조건 앞만 보고 달리다간 큰 코 다친다. 무엇보다 착공이 늦어지는 2구간 주민들에게 동시개통이라는 믿음을 줘야 한다. 입으로만 약속해서는 안된다. 대중교통은 이용의 편리성과 수송능력도 중요하지만 안정성에 기반을 둬야 한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된다. 대한민국 최초의 트램 만들기에 집착하지 말고, 새로운 대중교통의 도입을 위한 신중한 발걸음이 요구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