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연 유성선병원 뇌졸중센터 전문의
이주연 유성선병원 뇌졸중센터 전문의
평소 우울증 증세를 보이던 박모(83)씨는 뇌졸중이 발병한 이후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였다. 우울증 등의 영향으로 신체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던 박씨는 식사량조차 매우 적어 주변의 우려를 샀다. 요양원으로 입소하면서 간호를 받기 시작한 그는 이미 사지의 대근육이 말라 부축 없이는 걷기가 힘들 정도였고, 관절 가동범위마저 감소해 기저귀를 교체할 때도 간병사의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식사시간에는 삼키는 시간이 길고, 음식을 거부하기까지 해서 간병에도 어려움이 많아 방법 모색을 위해 병원에 내원했다.

우리는 보통 확실한 질병이 진단돼야만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고령의 노인이 신체활동 없이 가만히만 있는 건 병이라고 생각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생체의 움직임이 감소하거나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면 신경계, 근육계, 골격계는 물론 심혈관계, 호흡기계, 위장관계, 비뇨기계 등 내장기관 등에 이르기까지 전신기관의 기능저하가 초래된다. 이럴 경우 발생하는 합병증과 속발증을 모두 통칭하는 것이 `부동증후군`이다.

부동증후군은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연구되기 시작했다. 수많은 연구진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부동의 악영향에 대한 보고가 점진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해 최근에는 장기 침상안정, 부동, 비활동과 무중력상태 노출 등이 생리적 변화를 가져오고 신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부동증후군의 대표적인 변화는 근골격계에서 일어난다고 본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근육의 변화와 구축이다. 사람의 가자미근을 통해 연구한 바로는 침상안정 2개월째에는 12%의 근육이, 4개월째에는 근육의 39%가 감소한다. 근육량의 감소는 근육단백 파괴보다는 근육단백합성 감소의 결과로 생각되며 근육단백합성은 침상안정 14일에 접어들면 초기수준의 50%로 감소한다.

근위약, 즉 근력의 감소는 근위축의 기능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거동이 점점 어려워지며 바로 누운 자세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고 심장기능에 악영향을 유발한다. 또 누운 자세에서는 중력에 의해 체위의 아래쪽 폐엽에 분비물이 축척되고, 반면에 위쪽 폐엽은 건조해져 섬모의 분비물 제거가 비효율적으로 작용해 분비물이 아래쪽으로 더욱 모이게 된다. 특히 복근의 위약과 섬모기능의 저하로 기침의 효과도 약하게 변해 무기폐와 폐렴을 야기해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부동 후 다시 운동을 시작하면 근력이 회복되는데, 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부동에 의해 근력이 약화되기까지 걸린 기간의 2배 이상으로 수 개월에서 수 년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불용성 근위축과 근위약은 미리 예방하는 것이 치료보다 중요하다.

부동에 의한 부정적 폐해는 신체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일단 부동에 따른 폐해가 나타나게 되면 회복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병원 입원기간의 연장, 의료자원들의 고비용 저효율적인 이용증가, 일상생활 동작의 의존기간의 증가 등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부동증후군이 예견되는 주 질환군 환자들은 급성기부터 조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며, 부동증후군의 출현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이 질환과 손상에 따른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지름길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희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