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인프라 활용 2020년까지 조성

대전시가 2020년까지 원도심을 문화·예술·경제 등을 통합한 비즈니스 타운으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원도심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산업구조를 재편,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을 실현하겠다는 것.

특히 옛 충남도청과 대전역을 연결하는 직선 거리를 원도심 재생의 코어(중심축)로 삼아 중구 은행·선화·대흥동을 비롯해 동구 중앙동 일대까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문화콘텐츠, MICE산업 등을 연계한 산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22일 본보가 입수한 `원도심 발전계획 원안`에 따르면 시는 27개사업, 총 예산 2조원(예상액) 규모로 원도심 재생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 달 5일 국토교통부의 2016년 도시재생공모사업에서 선정된 마중물사업(9개), 민자사업으로 예산 1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전역세권개발사업 등 민간투자사업(2개), 중앙부처협업사업(11개), 지자체사업(5개) 등 주요사업을 2020년 전후로 완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국비 250억원, 시비 250억원 등 500억원을 확보한 마중물사업, 최근 국비 150억원을 확보한 대전역세권 개발 등이 탄력을 받고 있는 만큼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사업재원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시가 원도심 발전계획 원안에서 내세우고 있는 원도심재생의 핵심키워드는 `산업의 재구조화`다. 옛 충남도청과 대전역을 두 개의 발전소로 삼아 `I자형` 발전구조로 문화콘텐츠와 ICT 기반의 경제거점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장기적 사안에서는 U-street조성,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등 거점을 연결하는 연계축 조성도 추진할 방침이다.

눈길을 끌고 있는 점은 `걷기 좋은 도시(Walkable city)` 조성이다. 시는 최근 마중물사업을 중심으로 중앙로 주변의 보행환경개선계획을 밝힌 바 있다. 옛 충남도청사의 담장을 허물고 중앙로 일대에 횡단보도, 에스컬레이터 설치, 안내 시스템 정비사업 등 보행자 중심의 원도심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차 없는 거리는 소프트웨어적인 차원에서, 마중물 사업은 하드웨어적인 차원에서의 투 트랙전략으로 원도심 재생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사업대상지의 규모는 중앙로 일대를 기반으로 3㎢에 달한다. 법정계획 상 재정비촉진지구, 주거환경정비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등 총 20개 지구를 대상으로 추진된다. 시는 이 지역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문화기술(CT)에 ICT기술을 접목한 지식기반서비스 산업과 대전역을 활용한 MICE산업도 특화시킬 계획이다. 근대문화유산, 지역문화예술 등으로 관광 및 문화산업을 육성시켜 대전을 근대문화예술 특구로 발돋움시키겠다는 방침도 내세우고 있다. 시는 원도심 산업의 재구조화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고용유발 2만 7000명, 생산유발 6조 4000억 원, 공실비율 5% 이내 감소 등 유·무형의 자산을 활용한 미래지향적인 원도심을 재창조할 계획이다. 박월훈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마중물사업은 장기적인 차원에서 원도심재생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초기사업이라고 볼 수 있고 옛 충남도청사, 대전역을 거점으로 원도심 전체의 발전을 계획하고 있는 것"이라며 "원도심재생사업은 문화와 경제가 통합할 수 있는 차별화된 도심계획"이라고 말했다. 성희제·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