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공동화 문제는 영원한 숙제 인구 증감, 부동산 등 경제상황 직결 문화·상업 콘텐츠 개발이 상생 해법

신도시가 건설되면 기존 도심은 공동화가 진행되며 인구가 감소하게 된다. 1980년대부터 신도시 개발이 붐을 이루며 전국의 대도시는 물론 중소도시까지 인구의 신도시 집중화 현상이 심화돼 구도심(원도심)의 공동화 문제는 영원한 숙제로 남아있다. 충청권 지역도 예외는 아니어서 세종시의 인구블랙홀 현상이 심각하다. 인접한 대전과 충남, 충북의 인구를 끌어들이며 주변 자치단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예견된 결과지만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세종시와 상생발전을 기대했던 주변 지역 자치단체 입장에서 보면 표현은 하지 않지만 세종시는 `미운오리 새끼`일 수 밖에 없다.

통계청의 2015년 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그 심각성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세종시 첫마을 입주가 시작된 2012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주한 인구는 4만 7000여 명으로 세종시 전체 유입인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충남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같은 기간 2만 1000여 명이 세종시로 거처를 옮기며 세종 유입인구의 14%를 차지했다. 청주시도 지난 1년 동안 8000 여 명이 세종시로 전입했다. 전체적으로 인접지역에서 7만6000 여 명이 세종시로 이주한 것이다. 세종시의 급증하는 인구는 세종시 건설의 주역인 인접시·도가 전담하고 있는 셈이다. 참 아이러니하지만 현실이 그렇다.

향후 아파트 입주와 공급이 추가로 이뤄지면서 세종시로의 인구유출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 인접지역 자치단체들은 인구 지키기 전략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기존의 원도심 공동화 사례를 보면 인구이동을 막을 방법은 없다. 대전의 경우 둔산, 도안, 노은 등 신도시개발이 이뤄지면서 원도심의 인구유출이 급속하게 진행돼 공동화 현상의 후유증이 심각하다. 여기에다 인접한 세종시의 `인구빨대` 효과까지 더해진 상황이다.

충남도 천안, 아산으로의 인구집중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시군지역도 신도시로의 이주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충남도청이 이전한 내포신도시의 인구는 증가세인 반면 원도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원도심의 인구이동이 급증하고 있는 홍성군의 경우 군 전체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읍내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내포신도시로의 이주가 주원인이다. 내포신도시 이주자들이 타지역이 아닌 인접지역인 홍성과 예산지역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도시 지역인 홍북면의 경우 읍 승격을 눈앞에 두고 있다. 내포신도시 입주와 함께 원도심 공동화라는 고질적 문제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인구 증감은 부동산 등 경제상황과 직결된다. 전국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충청권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세종시로의 인구유출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사람이 없으니 장사가 될리도 없고, 젊은층들이 신도시도 빠져나가 고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되게 된다. 결국 활력이 떨어지고, 정적인 원도심으로 전락하게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정확하게 말하면 답은 없다. 신도시가 건설되면 당연히 새아파트가 지어져 인구유입이 이뤄진다. 좀 더 나은 주거환경에서 살기위해 이주를 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막을 수는 없고,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 만은 없는 게 자치단체들의 상황이다. 세종시 입주 4년이 지나며 발등에 불이 떨어진 꼴이다. 강물을 거꾸로 흐르게 할 수 없는 것처럼 인구유출을 막을 순 없다. 다만 인구가 대거 빠져나간 원도심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게 현실적이다. 거주지는 옮겼지만 다시 그곳으로 사람들을 몰려들게 해야 한다. 그 답은 문화·상업 콘텐츠이다. 대전의 경우 원도심 활성화 대책이 어느정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사람들이 몰리는 거리를 만들기 위해 문화·상업 콘텐츠 전략을 추진한 결과다. 기존의 방법과 차원이 다른 재래시장 활성화도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이나 부산, 제주도 지역의 재래시장을 생각하면 된다. 인구 빨대 효과가 가장 큰 세종시 주민들을 대전, 청주, 공주 등으로 쇼핑, 문화광광을 오도록 하면 된다. 답도 없고, 효과가 없는 `인구지키기`는 공염불일 뿐이다. 강물을 거꾸로 흐르게 할 수는 없지만 그 강물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신도시 주변 자치단체들의 살길이다. 김재철 충남취재본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