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변횟수 주 3회 미만땐 의심 적절한 검사·식이섬유 섭취를

구훈섭 건양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구훈섭 건양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정상 배변 습관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변비를 정확히 정의 하기는 어렵다. 1주일에 3회 미만으로 배변횟수가 적어진 상태,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딱딱한 변, 불완전 배출감, 항문 폐쇄감, 배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가락을 사용하거나 아랫배를 누르는 등의 처치가 필요한 경우 등 5가지 항목에서 4번의 배변 중 최소한 1회 이상 발생할 때를 양성 소견으로 판정하며, 위 6가지 기준 중에 최소한 2개를 만족하는 경우를 변비라고 한다.

변비는 대장이나 직장 항문 자체의 운동 장애로 인한 특발성 변비와 다른 기저 질환이나 여러 가지 약제들로 인한 이차성 변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성 변비의 원인으로는 대장의 폐색을 일으킬 수 있는 대장암, 항문 협착 등의 기질적 병변, 갑상선기능 저하증이나 당뇨병 등의 내분비 질환과 파킨슨병이나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중추신경계병변 등의 전신 질환들이 있다. 또 중요한 원인인 칼슘 길항제, 마약성 진통제, 항정신신경제, 철분제제, 제산제 등의 약물복용도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적인 원인을 배제한 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는 배변의 여러 과정 중에 자주 이상이 발생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세가지로 그 원인을 나눠 볼 수 있다.

첫째는 대변이 형성될 수 있을 만한 음식과 수분 섭취량이 적은 경우다. 둘째는 대장 운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소위 서행성 변비, 대장 무력증이라고 부른다. 셋째는 직장 항문의 배변 기구가 변을 볼 때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로 골반저 기능이상, 항문경 등으로 부른다. 정상적으로 변을 볼 때 항문 괄약근과 치골직장근이 이완해야 하는데, 이 환자들에서는 외항문괄략근과 치골직장근이 이완되지 않거나 오히려 수축한다.

변비의 진단은 변비를 초래할 수 있는 이차적인 원인인 약제, 기질적인 질환 및 전신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며, 자세한 문진과 신체검사를 통해 만성 변비의 원인을 파악해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다.

충분한 식이섬유의 섭취에도 불구하고 변비가 지속되는 이차적인 원인이 없는 환자에게는 대장의 운동기능을 평가함으로써 변비의 병태생리 규명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대장의 운동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는 항문직장 내압검사, 풍선배출검사, 배변조영술과 비투과성 표지자 대장통과시간검사 등이 사용되고 있다.

환자를 치료하다 보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하루에 한 번 꼭 규칙적으로 배변을 해야만 정상으로 알고 그렇지 않을 때는 완화제를 사용해서라도 꼭 배변을 하려고 노력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건강한 성인도 배변이 불규칙할 수 있으며, 하루 3회에서 1주일에 3회까지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변비 치료의 원칙은 발병기전에 따라 치료하는 것이다. 대장암과 같은 기질적인 질환이나 전신적인 질환이 없는지 우선 확인하고 분명한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희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