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북부상공회의소 산학연관 활성화 워크숍

충남북부상공회의소와 충남도는 산학연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워크샵을 지난 22일 개최했다.  사진=충남북부상공회의소 제공
충남북부상공회의소와 충남도는 산학연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워크샵을 지난 22일 개최했다. 사진=충남북부상공회의소 제공
숨차게 달려온 2015년이 열흘도 남지 않았다. 충남경제는 올해 다양한 일들이 있었다.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급부상 등으로 충남의 주력산업인 디스플레이산업의 성장 추진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충남도는 한해 동안 여러 차례 간담회와 토론회를 갖고 중장기적 지역경제 활성화의 로드맵이 될 `충남경제비전 2030` 다듬기에 몰두했다. 충남의 창조경제 전진기지가 될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5월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천안에 개소했다. 아산발 메르스 여파는 충남뿐 아니라 우리 경제 전반에 악재가 됐다.

내년도 경제 전망이 녹록치 않은 가운데 충남경제를 견인하는 산학연관이 한 자리에 모여 네트워크 활성화를 모색하는 워크숍이 지난 22일 충남북부상공회의소 10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워크숍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내년 산학연관 아카데미 10개 과정 운영=이날 워크숍에서는 김현철 충남도 경제정책과장, 권상준 ㈜티에스이 대표, 하채수 선문대 산학협력단 사무국장이 각각 주제발표를 했다. 김현철 과장은 `산학연관 네트워크 활성화 및 충남도 R&D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발표문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충남은 산학협력사업으로 특허출원 39건, 특허등록 35건, 시제품 개발 60건, 공정개선 59건, 신기술개발 37건, 품질인증 19건, 연구논문 19건 등의 성과를 양산했다. 기술개발 사업화 경진대회를 개최해 10개 업체의 시제품 개발 및 다지인지원을 도왔다. 78개 연구과제를 수록한 도내 대학들의 연구성과 자료집을 발간해 배부했다.

김 과장은 충남의 산학연관 네트워크의 문제점으로 참여단체간 컨셉 선정 및 추진의지 미흡으로 단순주입식 강연 재연, 실질적 참여주체의 홍보활동 저조, 격식과 외형에 치중한 행사로 변질, 내부 기업정보 활용 미흡, 부진 과제에 대한 대안 발굴 노력 부족 등을 꼽았다. 개선방안으로 기업의 기술애로 해소 및 산업화와 연계한 수요자가 주도하는 산학협력 추진, 대학과 기업의 R&D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능 정착, 산학연관 주체가 주도하는 아카데미 운영, 네트워크 주체의 참여계기 마련 및 정부정책 접목 등을 제안했다.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내년도 산학연관 네트워크 추진계획으로 산학연관 아카데미 운영을 첫 번째로 소개했다. 산학연관 아카데미는 1월부터 12월까지 10개 과정 총 300명 규모로 운영한다. 충남북부상공회의소는 1, 3, 5, 7, 9월 기업인과정을 운영하며 충남벤처협회는 2, 4, 8, 10, 12월 벤처기업과정을 개설한다. 6월과 11월은 충남북부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산학연관 네트워크 대회를 개최한다. 산학연관 아카데미는 국내외 경제·산업 동향과 중앙정부의 R&D 정책 및 산업구조개선 동향, 중소기업 지원 정책 동향, 도 경제정책 및 도내 기업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가 된다.

지식산업 네트워크 대회는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화학소재 등 매주 1회 산업별 순환 운영으로 총 30회 운영한다. 참여 대상은 도내 22개 대학 129개 센터의 입주 및 협력업체로 확대한다. 도 경제정책과, 전략산업과와 태건식 단국대 교수, 장태석 선문대 교수, 충남북부상공회의소 부회장, 충남벤처협회 부회장 등 6명으로 이뤄진 산학연관 소통채널도 수시로 가동한다. 산학 협력사업 연구성과는 자료집으로 만들어 기관 및 단체, 기업체에 배부하고 도와 충남북부상공회의소 홈페이지 등에 게재한다.

◇전문 코디네이터 도입, 사외기술이사 활성화 필요=권상준 ㈜티에스이 대표는 `기업에서 바라보는 산학협력`을 발표했다. 권 대표는 한국연구재단의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의 대학 소재지별 기술 이전 현황을 인용해 기술이전 성과가 지역적으로 서울·수도권으로 편중, 집중화된 구조를 지닌다고 밝혔다. 특히 충남은 대학 수에 비해 기술이전 성과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지적했다. 충남은 3년간의 기술이전 성과가 14개 대학 199건으로 전체 계약건수에서 차지하는 충남의 비율이 4%에 그쳤다. 충남은 정부 연구비에서도 서울이나 경기도와 격차를 보였다. 대학의 산학협력단 등 충남의 지난해 과제당 평균 정부 연구비는 2억 2000만 원으로 같은 기간 서울시의 2억 5900만 원, 경기도 2억 5000만 원 보다 적었다. 권 대표는 "충남은 정부 연구비 지원이 상대적으로 줄고 있고 과제당 연구비도 적다"고 평가했다.

권 대표는 "어느 대학교의 어느 교수가 내가 필요한 연구개발 및 과제 수행을 잘 하는지 알고 싶다"며 기업에서 바라본 산학협력의 문제점으로 과제수만 늘리는 대학의 행태, 지원되는 과제 금액 및 협약의 적정성, 대학교의 연구수행 능력 수준을 나열했다.

그는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으로 전문 코디네이터(중매인) 도입을 내놓았다. 전문 코디네이터는 특정 기업이 요구하는 연구 과제 수행에 가장 적합한 학교와 교수를 꼭 집어서 기업에 연결하고 주체간 기술 이전 역할 정의, 분담 및 평가, 기술 이전 후 실적 정리 및 홍보 활동 등을 수행한다. 사외기술이사 제도 필요성도 역설했다. 특정 교수가 특정 기업에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을 지원 하는 환경 구축을 위해 기업은 특정 교수를 사외이사로 채용하고 정부는 임금의 일부를 지원하자는 구상이다. 전국에 있는 대학과 도내 중소, 중견 기업간 정보 및 기술 교류를 담당할 전국적인 네트워킹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채수 선문대 산학협력단 사무국장은 "지역기업과 대학, 자치단체, 기관간의 튼튼한 협력네트워크구축이 필요하다"며 "대학, 기관, 자치단체간 기업지원프로그램을 일목요연하게 지역기업에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대학보유기술의 기업이전 활성화, 지역기업의 해외진출 실태 파악 및 지원시스템을 해결과제로 꼽았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