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충남대 현주소 진단 ④ 충청 인재양성 외면

충청권의 지방거점국립대인 충남대가 전체 취업률 상승에만 중점을 두면서 지역인재양성을 등한시하고 있다.

지역기업과의 각종 협약체결건수가 매년 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졸업생들의 취업까지 이어지지 않고 있는 데다 기초적인 지역취업통계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 지방 거점대로서 제 역할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인재양성을 바탕으로 지역발전의 견인차가 돼야 할 지방거점대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산학협력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충남대의 가족기업수는 매년 늘고 있다. 지난 2012년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에 선정되기 직전 97곳에 그쳤던 가족기업수는 LINC사업에 선정된 이후 같은 해 337곳으로 3배 이상 늘었으며 2013년은 600곳, 지난해 772곳으로 훌쩍 증가했다. 2년 사이 7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족기업과의 협약체결은 늘었지만 성과는 초라하다. 그 동안 협약을 체결한 가족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은 손에 꼽을 정도이며, 심지어 해당 기업에 취업한 졸업생들의 기본 통계, 자료 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실적 올리기에만 급급했을 뿐 유명무실한 협약체결에 불과했던 것이다. 충남대와 협약을 체결한 가족기업 대다수는 대전·충남지역의 기업들이다.

충남대는 산학연계 뿐만 아니라 지역취업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본보가 직접 대전·충남지역에 취업한 졸업생들의 통계를 요청한 결과 충남대는 졸업생들의 전체 취업률에 대한 수치만 마련돼 있을 뿐 가장 기초적인 지역취업통계는 전무하다고 답변했다. 지역거점대로서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인재양성에 선도적으로 나서야 할 충남대의 현 주소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역맞춤형 취업관리시스템이 허술하다 보니 지역인재의 유출도 우려되고 있다. 갈수록 수도권에 편중된 중앙집권체제가 심화되면서 수도권과 지역 간 경제 수준의 격차가 커지고 있는 데다 충남대의 경우 수도권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탓에 교수·학생 등 우수인력들의 유출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충남대에 재학 중인 이모(25)씨는 "먼저 졸업한 선배들을 보면 대전지역에 취업할 수 있는 기회나 여건이 좋지 않다 보니 자연스럽게 수도권이나 타 지역으로의 취업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며 "지난 해에 충남대와 협약을 체결한 기업에 현장체험을 간 적이 있는데 단순 견학에 그쳤을 뿐, 산학협력이란 의미가 도대체 무엇인지 감이 서질 않았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충남대 관계자는 "대전·충남지역의 기업과의 연계를 긴밀히 하기 위해 최근 3년 사이 협약체결에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복지 등 여건상에서 학생들과의 눈높이가 맞질 않다 보니 취업까지는 이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며 "기업과 대학, 지자체의 선순환구조를 위해 학교차원에서 지역에 맞춘 취업관리시스템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