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가뭄 장기화 충남 광역상수도 비율 84%…분산형 공급방식 대안 중소형 댐 등 지역거점형 취수원 개발 목소리 커져

충남의 광역상수도 의존을 낮추기 위해 지역거점형 수원을 개발하고 수원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도에 따르면 충남 광역상수도 비율은 2013년 기준 84%로 전국 평균인 26%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특히 최근 물 부족사태로 서북부에 제한급수까지 시행되자 충남의 광역상수원 의존도가 높아 지역의 물 문제에 대한 탄력적 접근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충남연구원 관계자는 "충남에도 지방상수도가 많이 있었지만 경제적 효율성, 상수원 보호구역과 관련한 민원, 관로 유지·보수비용에 대한 지방비 부족 등의 이유로 광역상수도 전환이 이루어져 왔다"며 "물을 한 곳에서만 공급받는 다는 것이 경제적으로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안정적이지는 않다. 수원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 2013년 충남연구원 이상진 기획조정연구실장은 `물 자치권 확립을 위한 정책과 과제` 연구에서 천안·아산 등을 제외하면 인구밀도가 낮은 농촌이 넓게 분포된 충남의 특성을 고려해, 광역상수도 방식의 집중형 생활용수 공급보다는 지방상수도,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을 통한 분산형 공급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일 충남연구원 연구위원도 `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과제(2012)` 연구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취수원 확보의 어려움과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지하수, 농업용저수지, 소규모 식수댐, 산지댐(사방댐), 강변여과수, 빗물 등을 취수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도는 광역상수도 전환으로 폐쇄되거나 폐쇄될 예정인 지방상수도 정수장 11개소의 활용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옥룡·유구·합덕·청양·정산 정수장은 비상급수시설로, 청라·성주·용화·금산제2정수장은 공업용수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에서는 또 2000년대 초반과 2013년 추진됐다가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반발로 무산된 청양 지천댐 건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충남도도 고질적인 물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 방안의 하나로 중소형 댐 건설을 위한 논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물 관리 대책에 있어 근본적으로는 지방의 권한과 책임을 높이기 위한 조직구성과 중앙과의 업무조정, 지방정부의 통합관리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앞선 충남연구원 관계자는 "물과 관련한 권한이 중앙정부에 많이 있고 책임은 지방정부가 많이 지고 있다"며 "물의 이용부터 책임까지 물과 관련한 의사결정 권한이 지방, 유역주민에게 오도록 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정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정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