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이념논쟁으로 본질 호도 '식민사학 미청산' 학계 반성 필요 객관적 진실 바탕 수정작업 통해 국민 역사 의식 고취·각성나서야

북한 진주 소련군사령부가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을 설치한 70주년을 기념하는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군열병식`을 종편들이 중계하듯 특집 방송한 10일, 신문들은 19대 마지막 정기국회에서 격돌한 국사교과서 개편 논의를 정치 쟁점으로 도배했다. 중국을 견제하는 미국·일본의 동맹 강화로 조성된 신냉전기류 속에 일제식민사관 ·중국동북공정·식민지근대화론·종북자학사관 등으로 왜곡된 국사교과서 수정은 바른 역사의식 고취로 기대되지만 때늦은 감이 있다. 학계 원로들은 "국사교과서 개편 결단을 20대 국회의원 선거 쟁점으로 부각시켜 국민의 역사의식 고취와 각성을 발목 잡으려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한다. 19대 마지막 국정감사가 비효율적이고 저질이었다는 비판 속에서 야당의 국사교육 개선 저지는 설득력이 약하다.

국감 마지막날 한국갤럽 조사에서 19대 국회가 "잘했다"는 응답이 10%였으며 "잘못했다"는 응답이 82%였다. 20대 총선에서 현역의원의 재선을 원하는 사람이 24%인 반면 "바꿔야 한다"는 응답이 47%로 교체 의견이 2배였다. 국정을 발목 잡은 횡포에 대한 국민의 준엄함 심판이며, 막말·권력남용·권력형 비리·배신· 분열에 대한 국민의 피로감이 반영된 것이다. "일어서서 회장 `물건` 좀 꺼내보세요. 내가 좀 보게"라는 막말과 롯데그룹회장에게 "한국과 일본이 축구경기를 하면 한국을 응원하십니까?"라는 유치한 국감 질문에 국민이 분노했다. 저질 국감과 막말로 국민 지탄을 받는 국회가 국사교과서 개편작업을 정치 쟁점화한 것도 문제지만 국사학이 정치권의 이념 논쟁에 휩쓸려 설득력 있는 역사 교과서를 내놓지 못했다는 것도 부끄러운 일이다. 김영삼(YS)정부 이후 이명박(MB)까지 20년간 긴 논쟁으로 국사교과서의 쟁점은 부각되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국사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한 동양사학·서양사학·정치학·경제학·국어국문학·국제정치학계의 고언을 귀담아 듣고 해방70년 한국학계의 온축을 집대성하는 수정작업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국편은 국사교과서 오류가 학술 차원이 아니고 YS-MB정권의 이념전쟁 에서 비롯된 것임을 직시하고 좌고우면 하지 말고 객관적 진실을 밝혀, 자라는 세대에게 역사의 교훈을 깨닫고 자긍심을 갖게 할 역사교과서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개편 국사 교과서는 YS정권이 제기한 왜곡된 국가 정통성·대한민국역사가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라는 노무현스런 자학사관·북한에 호의적인 브루스커밍스사관·민중사관 등을 불식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국사학계가 반성해야 한다. 1960년대까지도 국사학은 일제식민사학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다. 한국사 무대를 반도 안으로 축소시킨 일제의 반도사관 극복에 앞장섰던 김상기교 수는 6·25전쟁 후 이승만 건국대통령이 학계중진에게 자긍심과 국가의식을 갖게 할 국사교과서를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했으나 학계가 부응하지 못했다고 고백했다. 고병익,이기백, 김철준, 홍이섭 교수 등 해방후 1 세대 학자들은 6·25전쟁중 역사학계를 조직하고 식민사학 청산 작업에 나서 일제식민사관을 극복한 `한국사 25권`을 정리하고 국정 국사 교과서도 펴냈다. 그러나 강만길교수 등 6·25 세대 일부 학자가 민중사관을 주창하며 국사교과서 이념논쟁의 씨앗을 뿌렸다. 해방전 세대의 식민사관극복에 앞장 섰던 김철준 서울대 교수가 정년 퇴임하며 "제자들에게 배신당한 것 같다"는 술회가 2015년 국사교과서 개편파동으로 입증됐다.

YS 정권의 역사 바로세우기로 시작된 국사교과서 파동은 MB정부에서 절정을 이루어 최근 교육부가 검인정 역사 교과서 오류 1281건을 수정 지시할 정도다. 정치권이 왜곡됐던 진실을 바로잡는 교과서 수정작업을 진보 보수의 이념논쟁으로 유도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분단과 6·25전쟁까지 왜곡했던 국사교과서 수정은 언발에 오줌누기였다. 한국사를 열린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하여, 자라는 세대에게 새비전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언론인 전언론법학회 감사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보도 및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