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이 극에 달하면 슬퍼지게 된다`라는 뜻으로, `모든 일은 지나치면 안 됨`을 비유한다. 사기(史記)의 골계(滑稽)열전에서 유래했다.

제(齊)나라 위왕(威王) 8년에 초(楚)나라가 대대적으로 침략했다. 제나라 위왕은 `순우곤`에게 선물을 가지고 조(趙)나라에 가서 구원병을 청하라고 했다.

조나라 왕은 정예병사 10만을 주고 전차 천대를 주었다. 초나라는 이 소식을 듣고 야밤에 바로 철군했다. 위왕이 크게 기뻐하여 후궁에 술자리를 차리고 순우곤에게 술을 하사했다. 위왕이 물었다. "선생은 얼마나 마시면 취합니까?" 순우곤이 답했다. "저는 한 말을 마셔도 취하고, 열 말을 마셔도 취합니다." 위왕이 말했다. "선생은 한 말을 마시면 취한다고 했는데, 어찌 열 말을 마실 수 있단 말입니까! "

순우곤이 답했다. "대왕의 앞에서 술을 하사받을 때는, 저는 몹시 어려워하며 엎드려서 술을 마시는데, 이때는 한 말에도 취합니다. 그러나 친구들끼리 오랜만에 만날 때는 대여섯 말 정도 마셔야 취합니다. 해가 저물고 술자리 끝 무렵, 서로 가까이 앉아 남녀가 동석하고 잔과 쟁반도 어지러이 흩어지고, 비단옷 옷깃도 풀어져 향내가 은은히 날 때, 저는 가장 즐겁고 술 열 말도 마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술은 지나치면 문란해지고, 기쁨도 극에 달하면 슬퍼지게 되며, 모든 일이 이와 같다(酒極則亂, 樂極則悲, 萬事盡然)`고 합니다" 순우곤이 이렇게 넌지시 간언하자, 위왕은 밤샘 술자리를 멈추었다.

가을이 무르익어가자 방방곡곡에서 축제가 벌어지고 있다. 며칠 전 한강 불꽃축제 준비 중에 인명사고가 나는 불상사에서 보듯 지나치게 즐기다 보면 문제가 생긴다. 축제 때마다 넘쳐나는 쓰레기는 우리 시민의식의 수준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하다. `순우곤`의 말대로 뭐든지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 여유와 휴식도 필요하다지만 마냥 축제에만 빠져들어도 되는 지 의문이 드는 요즈음이다.

충남대 국제화사업단 부장·중문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원세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