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일·유럽 지식인 아베 규탄 역사왜곡·집단 자위권 법안 반대 한국인도 역사의식 재조명·검증 일제침략·대한민국사 체계화 절실 "

한국 일본 미국 유럽 지식인 520여명이 서명한 `아베내각의 역사 왜곡과 민족주의·국가주의 부활`을 우려하는 공동성명서가 7월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발표됐다. 역사학자들이 앞장선 이 성명은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사죄"를 촉구하며 식민지배 반성 노력을 역전시키는 아베 정권의 역사 역류와 국수주의 부활을 경고했다. 경술국치 100주년이었던 2010년에 "한일 합병조약은 원천 무효(null and void)"라고 천명했던 `한국병합 100년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 발기위원회`가 주도한 이번 성명엔 5월 "아베의 과거사 왜곡 중단과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했던 알엑시스 더든, 볼프강 자이테르트 교수 등 미국 독일 호주 역사학자 들도 대거 참여했다.

지식인뿐만 아니라 일본 시민단체도 아베의 역사왜곡과 집단 자위권 법안 반대에 나섰다. 이들은 "일본의 침략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통절히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아베정권의 안보법안을 반대한다는 시민 여론도 52.6%(산케이 7월 18일 조사)로 치솟았다.

일본 군국주의 부활과 핵전쟁을 우려하는 일본 시민의 집단자위권 반대에도 아베 정권은 역사왜곡과 군국주의 역주행을 바꾸지 않고 있다. 세계지식인 성명서 발표 하루전 28일 "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은 없었고, 일본 정부는 이 사실을 세계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 보고서를 받고 아베는 "받아 들이겠다. 잘못은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2차대전 당시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위안소가 설치됐고, 이 설치 운영에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위안부들은 본인 의사에 반해 모집됐다"고 일본군의 집단 성범죄를 인정한 1993년 고노담화를 부인한 것이다. 미국 국무부는 30일 일본의 "위안부 강제 연행 없었다"는 반론에 대해 "2차 대전시 일본의 전쟁위안부 강제 동원은 끔찍하고 흉악한 인권 침해"라고 재확인 했으며 미의회도 아베를 비판했다.

아베의 역사 왜곡과 전쟁 도발 위험에 대해 아시아는 긴장하고 있지만 피해자 한국의 대일관계 인식은 복잡하다. 박 대통령의 동생 박근령씨가 포털사이트 니코니코와의 특별대담에서 "사과에 대해서 자꾸 이야기하는 것은 부당하며 신사 참배 시비는 내정 간섭"이라고 한 발언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한 중진 언론인도 지난달 31일 "아베의 종전담화가 미흡할 경우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관계개선은 요원해진다"고 우려하며 "한국의 변화가 현실적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파워엘리트의 역사의식 빈곤을 노정한 것이다. 광복절과 국치일이 함께 있는 8월에 현대사와 한국인의 역사의식 재조명과 검증을 촉구한다. 1910년 8월 22일 한일합병조약이 조인되고 29일 일본이 한국병합을 공식 발표했을 때 판서 승지 지평 등 관리 20명과 유생 백정 등 20여명이 자결했을 뿐, 전국이 조용했다. 오사카 마이니찌 서울 특파원은 1000만 조선인의 저항이 없었던 것을 "너무 조용해 여우에 홀린 것 같다"는 기사를 썼다.

조선은 이미 국가가 아니었다. 왕족과 고관대작들은 일본의 은사금 회유에 넘어갔으며 국가가 굶어 죽는 서민들을 방치해서, 국민 통합 능력도 상실했었다. 당시 한국에 왔던 선교사들은 백성들의 어려운 삶을 외면하는 왕실의 부도덕성·부패·권력 싸움을 신랄하게 고발했다. 1943년 11월 22일 열린 카이로 회담에서 해리 홉킨스 루스벨트 특별보좌관이 마련한 "우리는 일본에 의한 믿을 수 없는 한국인 노예화를 염두에 두면서 일본이 패망한 후 한국을 가능한 가장 빠른 순간에 자유독립시킬 것을 결의했다"라는 회담 초안이 통과돼 일본 패망 즉시 한국은 해방이 되었으나 광복 70년에도 일본은 침략을 공식 사과 하지 않았으며 한국은 분단 상태다. 나라 빼앗긴 반성과 건국의 역사를 총정리한 대한민국현대사도 내놓지 못했다. 박근혜정부는 일본의 사과를 설득할 수 있는 일제 침략사와 대한민국사 체계화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언론인 전 독립기념관 감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