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이 이전한 곳은 홍성과 예산 접경지역으로 신도시명은 `내포시도시`. 대부분이 그렇듯 신도시가 개발되면 지명이나 지역명을 따서 `00신도시`라는 명칭을 붙이게 된다. 물론 이는 법정신도시가 아니다. 편의상 부르기 쉽고, 기억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발주체에서 작명을 하게 된다. 대전의 마지막 개발지역은 도안신도시도 당초에는 위치를 감안해 서남부지구라고 불리다 지명에 따라 도안지구로 개명됐다. 도안지구는 법정 도시명칭이 아닌 개발지역을 의미하고 있다.

내포신도시도 도청이 이전하며 대외적인 홍보를 위해 이름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올해로 입주 3년차를 맞는 내포는 아직도 신도시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을 정도로 인구, 기반·편의시설 면에서 부족한 점이 너무 많다.

현재 아파트 3개 단지가 입주하고, 충남의 대표적인 공공기관들이 입주해 있지만 전체 면적에 비하면 도화지 중간부분에 밑그림을 약간 그린 수준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당초 입주 예정돼 있던 종합병원, 대형마트는 입주가 백지화 된 상태나 마찬가지이고, 편의시설은 아파트단지 내 상가와 식당 등이 전부다. 대형 편의시설 유치가 무산되자 충남도와 충남개발공사가 나서 병원 및 대형마트 유치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변경 등을 추진하며 관심을 끌고 있지만 현재 상태는 미완의 신도시 그대로다. 사업시행자인 이들 기관들이 적극나서 대안을 마련하고 나선 것으로 지역주민들 입장에서 보면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와 더불어 신도시 정착의 성공여부는 내년 상반기면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6000여 가구의 아파트 단지 입주가 예정돼 있는데가 공무원들의 통근 버스가 운영되지 않으며 유입인구가 상당부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입주가 예상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면 신도시라는 의미가 무색해 질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신도시 사업 시행자가 적극 나서야 한다. 분양자들이 신도시로 이주할 수 있도록 입주의사 파악 및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통근 공무원들의 정착 등 풀어야 할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내포신도시의 미래는 없다. 올해말부터 입주하는 아파트 단지나 상가에 불이 켜지지 않는다면 그게 바로 신도시 공동화다. 그 불을 켜게 해야만 하는게 사업시행자의 의무이자, 내포신도시의 미래다. 김재철 충남취재본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