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뒤인 8월 1일부터 새 우편번호가 시행된다고 한다. 여섯 자리인 현행 우편번호 대신 다섯 자리의 새 우편번호로 바뀐다는 것이다. 시민들 기억에는 우편번호가 현행 여섯 자리로 달라진 지 얼마 안 되는 듯한데, 또 바꾸나 하는 의문과 저항감이 든다. 게다가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우편번호 변경 사실조차 모르는 시민들이 대부분이다. 우편번호 변경도 국가 정책의 변화라면 변화인데 이처럼 홍보와 정착에 무신경해도 되는지 의문이다.

우편번호 변경 이유에 대한 당국의 설명을 들어보면, 작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중인 도로명주소에 우편번호를 연동시키기 위한 것인 듯하다. 다섯 자리 중 세 자리는 시·군·구까지의 번호이고, 뒤의 두 자리 숫자는 새로 도입하는 국가기초구역 제도에 해당되는 번호라는 것이다. 생소한 이름의 국가기초구역이란 시·군·구를 장방형의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 설정해 우편물 배달을 빠르게 하기 위해 설정한 것이라고 한다. 이번 우편번호 변경이 좋게 생각하면 좀 더 빠르고 나은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것이라는 말인데, 시민들은 이렇게 여기기보다는 오히려 제도의 잦은 변경이 주는 번거로움을 더 크고 무겁게 여기고 있다.

현행 우편번호는 1988년 처음 도입된 여섯 자리 우편번호를 한 차례 개정해 2000년 5월 1일부터 시행돼 온 것이므로 15년만에 바꾸는 것이라고 당국은 말하고 있다. 그러나 우편번호도 주민등록번호처럼 한번 정하면 수십 년, 수백 년은 가야 할 국가적 고유 번호인데 너무 자주 바꾼다는 불만이 적지 않다. 소홀한 홍보 덕에 우편번호 제도가 사상 처음 도입된 1970년 당시의 다섯 자리 우편번호와 얼마나 다른 것인지 제대로 인지하는 시민들도 없다.

새 우편번호가 정착될 때까지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우편물을 보내야 하는 시민이나 배달해야 하는 집배원이나 오랜 동안 혼돈과 어려움을 감수해야 할 형편이다. 자칫하면 도로명주소처럼 자리를 잡지 못하고 갈짓자 걸음을 할 지도 모른다. 이처럼 국민들의 습관, 사고체계와 다른 제도를 도입하면 유무형의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법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