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증가속 상당수 지역상품 구매 악화

대전지역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규모 유통업체들이 지역사회와의 상생활동에 여전히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해 대전시가 대규모 점포의 지역사회 참여도를 이끌어내기 위해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상당수 유통업체들의 지역상품 구매율 및 공익사업 참여율이 전년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규모 점포들이 지역에서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에도 이들이 거둬들인 매출은 고스란히 수도권 본사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것. 이에 시는 지난해 9월 대형유통업체(백화점 4곳, 대형마트 14곳)를 상대로 △지역상품 구매(매출액의 5% 이상) △공익사업 참여(매출액의 0.35%) △지역업체 활용 △지역인력 고용(96% 이상) △백화점의 지역업체 입점 △지역상품 상설매장(1개 업체 1개 상설매장 운영) 등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하지만 유통업체들은 여전히 지역사회와의 상생사업을 외면하면서 시의 가이드라인을 제대로 지키지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시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전보다 상생활동 규모를 더 줄인 업체도 부지기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대전시가 지난해 대규모 점포의 총 매출액 및 지역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총 매출액은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전반적인 지역기여도 참여 실적은 오히려 전년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매출액 중 지역상품 구매는 평균 3.8%로 시의 가이드라인인 5%에 턱없이 못미쳤다. 백화점 중에는 롯데백화점 대전점이 2013년 매출액 중 3.2%의 지역상품을 구입했지만 지난해 2.8%로 실적이 저조했고, 대형마트는 이마트 트레이더스 월평점이 2013년 0.7%에서 떨어진 0.4%로 가장 낮았다. 전체 대상업체 중 홈플러스만이 7%로 시가 제시한 기준선을 넘겼을 뿐이다. 공익사업 참여는 전체 매출액의 0.24%에 그쳤다. 갤러리아타임월드와 백화점 세이가 각 0.35와 0.46%, 홈플러스 0.53%로 목표치를 달성한 반면 나머지 업체들의 참여는 극히 저조했다. 이마저도 전년에 비해선 일제히 떨어진 수준이다. 특히 공익사업 참여실적 55억 원 중 문화센터 운영이 30억 원으로 복지시설, 소외계층 기부 등 순수 공익사업 참여액수는 25억 원에 그쳤다.

지역업체 활용은 136억 원으로 2013년에 비해 73억 원이 감소했으며, 지역인력 고용도 총 3328명 중 94.7%의 지역민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95.7%였던 2013년보다 줄었다. 백화점의 지역업체 입점은 1757개 업체 중 지역업체는 195개로 11.1%에 불과했으며, 갤러리아타임월드만 쿠키, 천연비누 등 지역상품 상설매장을 운영 중이다. 문제는 대전시가 대규모 점포의 지역사회 환원을 이끌어 내자는 취지로 지역기여도 가이드라인 기준을 설정했지만 실질적으로 가이드라인을 따르지 않은 대규모 점포에 대해 제재할 수 있는 강제성이 없다는 점이다. 이중환 시 경제산업국장은 "대형유통업체 본사에 지역상품 구매와 지역업체 활용 등을 강력히 요청해 나갈 계획"이라며 "전통시장과 1대1 결연사업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해 지역기여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