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기숙사 건립을 싸고 학교측과 인근 주민들이 갈등을 빚고 있다. 대학이 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기숙사를 건립하려 하자 주변에 원룸 및 상가를 소유한 주민들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학생'의 입장에서 보면 정답은 명확하다. 기숙사 반대는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우송대와 대전대에 이어 한밭대가 주민들의 기숙사 건립 반대에 부딪혔다고 한다. 대학측이 민간투자 방식으로 기숙사를 추진하자 주민들이 학교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학생들에게 불편을 줄 것이라며 이미 개발한 대학주변 택지를 먼저 활성화시키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기숙사 건립을 둘러싼 갈등은 전국적인 현상이다. 서울에서도 경희대, 이화여대, 홍익대 등에서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 홍익대의 경우 마포구청이 건축 허가를 내주지 않자 소송을 벌여 민원을 이유로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은 것은 위법하다는 승소판결을 받아냈다.

굳이 법원의 판단이 아니라도 대학가 주민들이 대학의 기숙사 건립을 막는 것은 이해·동의하기 어려운 일이다. 대학이 학생들의 주거난 해소를 위해 기숙사를 짓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전국 대학의 기숙사 수용률이 36.4% 밖에 되지 않는다. 대전·충청권 대학도 마찬가지로 10%가 안 되는 곳도 있다.

기숙사 부족은 학생들에게 엄청난 희생을 강요한다. 2시간 넘게 먼 거리를 통학하거나, 서울-대전을 왕래하는 학생들이 제대로 공부하기는 불가능하다. 세를 사는 것도 만만치 않다. 대전의 경우 원룸 1칸이 보증금 200만-500만 원에 월 30만-50만 원을 내야 한다. 사립대생은 등록금에 용돈까지 더하면 1인당 연간 2500만-3000만 원을 지출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전국적으로 대학생 7만여 명이 평균 금리가 28.3%나 되는 돈을 2525억 원이나 대출받아 쓰고있다.

대학의 기숙사 확충은 필연적인 과제다. 대학이 수백억 원씩 적립금을 쌓아놓은 채 기숙사를 짓지 않는 것은 부도덕한 짓이다. 이 때문에 교육당국도 대학 평가 때 기숙사 수용률을 중요한 잣대로 활용하고 있다. 주민들은 기숙사를 반대할 게 아니라 공존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가격과 품질에서 경쟁력을 갖춘다면 학생들이 원룸이나 하숙을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대학도 주민들과 대화하면서 도와줄 것은 도와주는 전향적인 자세로 문제를 풀어가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