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소비자 칼럼을 시작하면서 녹색의 의미를 환경, 경제 그리고 사회생태 3분야로 나누어 글을 썼다. 환경은 환경용량과 지속 가능성, 경제는 녹색성장을 그리고 사회생태(Socio-Elology)는 생명과 건강, 안전한 사회를 포함하는 내용이었다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는 안전한 사회구성과 그 상호 관계성의 총체적 불합리성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사회생태 파괴현상이 적나라하게 들춰내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수백 명의 목숨을 잃은 대형 재난을 보면서 우리 주위에 건강과 안전문제를 녹색안전에 비추어 몇 가지 살펴보려 한다.

단체급식소에서의 이물질 혼입과 유해첨가물 등으로 먹거리 안전에 불안하기도 하다. 얼마 전 식품 중 방사능 검사를 대기측정기를 사용한 사례나 식품에서의 세균 검출, 멜라닌 유해물 등이 그러하다.

공원, 놀이터, 어린이집, 학교 등에 설치된 운동시설과 놀이시설 등의 노후화로 유해중금속(Pb, Cd, Cr) 등이 인근에서 검출되는 등 학생들의 건강에 영향을 받는 환경위험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있다. 또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보건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어 근로자가 생명을 잃기도 하고 있다. 현장에는 이를 위한 매뉴얼이 있으나 어느 분야는 그 내용이 복잡하고 그에 따른 행동으로 옮기기에 난해한 것들도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한시적 교육과 현장에서의 형식적 점검에 의존하는 것도 있어 실제의 안전환경보건 위험사고에 대처가 안 되는 사례로 현장에서의 산업재해, 환경사고 등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녹색안전을 위해서는 첫째로 매뉴얼을 현장에 즉시 적용시킬 수 있는 단순한 것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이에 따른 적정한 예산과 책임자가 정확히 있어야 되고 이 책임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무한책임을 갖게 하여야 한다. 둘째로 해당 분야의 전문성이 중요하다. 시민을 안전하고 안심하게 하여야 할 대전시만 하여도 시청, 교육청, 구청 등에 녹색안전 분야의 전문직 실태는 미약하고 각 전문직에는 복수직으로 분야에 따라 비전문가로 짧게는 6개월에서 1년 정도 있으면 떠나는 실정이어서 사명감과 책임을 가질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현실은 전문직의 사기와 의욕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시스템을 바꾸어 녹색안전으로 시민생활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윤오섭 대전녹색소비자연대 상임대표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대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