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공청회서 "단순참여 넘어 주도" 강조 지역산단 연계 특색있는 콘텐츠 발굴 관건

대전 지역의 도시재생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선 단순한 주민참여가 아닌 주민 주도를 통해 대전에 적합한 모델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돼 주목된다. 또 시장직할의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와 시선을 모으고 있다.

11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10일 국토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 선도지역 사업 공모를 위해 대전지역 4개 대상지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시는 동구 정동 일대와 중구 충남도청 인근지역, 대덕구 향교마을 등 3개의 근린재생형 사업과 대전 1, 2산단지역을 경제기반형 사업에 공모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시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사업에 추가적으로 주민 주도와 스토리텔링, 조직개편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상호 한밭대 교수는 "부산시처럼 도시재생 관련 부서를 시장직할 체제로 강화해야 한다"며 "몇 차례 조직강화를 건의했지만 시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교수는 또 "도시재생은 단순한 주민참여가 아닌 주민이 주도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며 "그런 다음 스토리텔링을 통해 이야기가 있는 도시재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시재생 공모지 지역 주민은 물론 인근 지역 주민과의 연계 필요성도 제기됐다. 산단지역의 경우 종사자뿐만 아니라 산단과 연계된 대학이나 연구단지 등과 연계해 지원한다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대전지역만의 구체적이고 특성화된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교수는 "전국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도시재생을 보면 90% 이상이 문화와 예술을 접목시키고 있는데 대전에는 문화에 플러스 알파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며 "IT 분야가 대전을 대표하는 만큼 이런 부분을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단순히 센터 등 건물을 짓는데 많은 예산을 소요하는 것은 오히려 예전 재개발 재건축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최정우 목원대 교수는 "시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사업을 살펴보면 산단지역의 복합지원센터 등 대부분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예산이 많이 투입되는 것으로 돼 있다"며 "물론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필요하지만 주가 되는 것은 주민이 주도하고 주민이 스스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수렴해 최종 사업구상서에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주민을 대상으로 3월부터 시민대학에서 도시재생 아카데미를 운영해 전반적인 교육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인상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상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