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이 대한민국 중심

한국 정치사에서 충청이 갖는 의미는 남 다르다. 선거에선 `승패의 감별사`, 정국에선 조정자 역할을 하며 끊임없이 정치적 역량을 높여왔다. 19대 국회 들어서는 사상 첫 지역출신 국회의장을 배출하는 등 정치의 주류로 급부상 했고, 급기야 `충청 대망론`의 싹을 틔웠다.

사실 과거 충청은 한국 정치의 변방이었다. 역대 대통령 중 충청 출신은 제4대 윤보선 대통령 (충남 아산) 한 명뿐이며, 재임기간은 2년도 채 안됐다. 충청이 한국 정치의 주류로 단숨에 부상할 만한 계기가 없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충청은 성장했다.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며 조금씩, 하지만 꾸준하게 정치적 역량을 키워왔다. `표심`의 결정력을 바탕으로 실리를 쌓아 온 것이다. 이 같은 충청 정치권의 성장은 지난 1997년 이후 역대 대선에서 충청권의 마음을 잡지 못한 후보가 대권을 잡는 경우가 전무했다는 `역사`를 썼다.

`충청을 잡는 자가 대권을 잡는다`는 공식을 만들어 낸 것.

인구증가를 통한 지역세 강화도 충청의 위상강화를 견인하는 한 축을 담당했다. 한국의 정치 지형을 바꿀 작지만 의미심장한 변화는 지난 5월 감지됐다. 조선시대 이후 처음으로 충청의 인구가 호남을 앞지른 것이다.

이 같은 인구 격차는 시간이 흐를수록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11말월 기준 충청권은 527만 1131명, 호남은 525만 2554명으로 인구격차가 6개월만에 1만 8577명으로 벌어졌다. 11월 기준 광역단체별 인구수는 충청권인 대전이 153만 3114명, 세종 11만 93099명, 충남 204만 6550명, 충북 157만 2158명으로 나타났고, 호남권인 광주는 147만 3689명, 전남 190만 6495명, 전북 187만 2370명을 각각 기록했다.

현재 호남은 인구가 정체상태지만 충청은 매달 평균 3000명씩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차기 대선이 치러지는 2017년이면 충청권과 호남의 인구 격차가 수십만 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같은 기류에 힘 입어 충청정치권은 전통적 캐스팅 보트론을 넘어 충청 대망론으로 한단계 발전하고 있다. 충청이 역대 정국에서 갈등의 조정자 역할을 했던 것처럼 영·호남 대립의 종지부를 찍고, 중원이 중심이 돼 하나된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정치의 변방을 넘어 중심으로 도약하고 있는 충청의 미래가 주목된다. 성희제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성희제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