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용융·광물추출 실증시험 성공리 마쳐 2015년까지 상용화… 年 2조원 수입대체 효과

깊은 바다 밑에서 캐낸 망간단괴를 녹여 유용한 광물을 뽑아내는 제련기술 시험이 성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14일 강원도 동해 ㈜동부메탈 공장의 파일럿플랜트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개발한 망간단괴 용융환원 기술 실증 시험을 성공리에 마쳤다.

지질자원연구원은 망간단괴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제련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이곳에 1일 처리량 2t 규모의 파일럿플랜트를 구축하고 실증 연구를 했다.

이날 실험 현장에서는 해양수산부와 지질자원연구원, 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개발협의회 관계자 50여 명이 연속용융 공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광경을 지켜봤다.

망간단괴는 첨단산업의 기초소재로 활용되는 금속광물인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를 함유해 해저의 검은 노다지로 불린다. 니켈은 화학·정유시설, 전기제품, 자동차 관련 소재로 쓰이며 구리는 전기, 전자, 자동차엔진, 건축설비 등에 활용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5000m 심해저에서 채취한 망간단괴에서 합금형태인 구리, 니켈, 코발트를 성공리에 회수했다. 연속공정은 건조 후 파쇄된 망간단괴에 석회석 등 첨가제와 환원제를 혼합해 아크로에 투입하고 섭씨 1450도로 녹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과정이다.

시험의 성공은 우리나라가 심해저 망간단괴를 제련할 수 있는 상용화 핵심공정을 확립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 제련공정 비용이 전체 투자비의 60% 이상을 차지해 유가금속 생산의 경제성과 직결된다. 그 중에서도 망간단괴를 녹여 유용금속을 합금형태로 회수하는 용융환원 공정은 망간단괴 유용금속 전체 회수율을 좌우한다.

해양수산부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및 해양과학기술원과 함께 망간단괴에서 전략금속을 추출해 내는 제련기술과 수심 2000m 급 채광기술 등의 상용화 기반기술을 2015년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2002년 국제해저기구(ISA)로부터 하와이 동남쪽 2000㎞ 클라리온-클리퍼톤(Clarion-Clipperton, C-C) 해역의 독점탐사광구(7만5000㎢)를 확보한 뒤 광구 내 심해저 5000m에 묻힌 망간단괴 탐사와 상업용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 7번째로 확보한 C-C 해역의 독점 탐사광구에는 약 5억6000만 t의 망간단괴가 묻힌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연간 300만t씩 100년 이상 채광할 수 있는 양이다. 향후 기술이 상용화되면 연간 2조 원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김형규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