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문직에 종사하는 J씨는 주변 동료들로부터 일명 '폭주계륵'으로 불린다.

자신의 생각과 맞지 않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는 등, 화가 나는 일이 생기면 화를 주체하지 못하고 동료들과 부하직원들에게 큰 소리로 불평불만을 늘어놓기 때문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한 가지 일에 집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벌여놓은 일은 많지만 제대로 마무리하는 일은 드물어서 동료들로부터 질타를 받는다.

우리 주변에서도 한 가지 일에 집중을 못하고 산만하며, 더불어 조그만 일에도 불같이 화를 내는 사람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만히 있지 못하고,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것 같은데도 불구하고 진득하게 매달리지 못해 성과가 없다. 이런 식으로 가정이든 직장이든 산만하고, 화를 삭이지 못하고 분노를 조절하지 못한다면 성인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흔히 ADHD라고 하면 아이들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는 질환이라 생각하기 쉽다. 실제로 ADHD를 앓았던 소아-청소년 환자가 성인이 되면 증상이 많이 완화되어 잘 눈에 띄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소실되지 않고 사회생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당 수의 어른 들이 여전히 ADHD를 앓고 있다고 봐야 한다. 만약 소아-청소년 시절에 제대로 진단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이유도 모른 채 성인기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미국에서는 성인의 4%가량이 ADHD를 앓고 있다고 집계된 바 있다.

ADHD는 크게 충동성 타입과 주의력 결핍 타입, 또는 두 가지 모두를 갖고 있는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증상은 다양하며 행동이 부산스럽고 충동적인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쉽게 화를 내거나, 폭력을 휘두르기도 한다. 자극을 추구해 술이나 마약에 중독되기도 쉽다. 직장이나 단체 생활에서 부딪히는 일이 많아 우울증을 함께 겪고 있는 경우가 많다.

검사는 문진과 ADHD용 평가설문지, 연속수행검사(CPT)로 가능하다. 평가설문지는 본인이 직접 주의력과 충동성에 대한 문항을 0점에서 3점까지 체크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이야기를 할 때 제대로 귀 기울여 듣지 않는 경우가 있다', '활동에 필요한 물건들을 종종 잃어버린다', '자리에 앉아 계속 몸을 꿈틀거리는 일이 있다', '자기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등의 질문에 답하면 된다.

연속수행검사는 병원에서 컴퓨터를 통해 이뤄진다. 화면에 나오는 복잡한 숫자를 순서대로 클릭하는 등 시각과 청각을 활용한 몇 가지 검사로 집중력과 주의력, 충동성을 평가한다.

치료를 위해서는 꾸준한 상담과 인지행동치료(정신과에서 시행하는 분노·좌절 조절 훈련 등을 일컫는 치료)가 필요하다. 보조적으로 약물요법을 실시하며, 치료 기간은 보통 6개월 이상 소요된다.

약물은 향정신성의약품인 메칠페니데이트 계통이 주로 처방된다. 의사의 처방에 의한 약물 사용은 ADHD 치료에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메칠페니데이트 계통의 약은 코카인 등의 마약과 약리학적으로 비슷해 남용과 중독의 위험이 있어서 함부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정성훈 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정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