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1970년대 아파트는 서민들에게 로망의 대상이었다. 당시 아파트는 권력과 부의 상징이었다. 서민들의 유일한 희망은 돈 벌어 아파트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아파트는 한국전쟁의 상처가 남아있던 1957년 지은 서울 안암동 종암아파트다. 전쟁으로 물자가 부족했던 당시 이런 커다란 아파트를 짓는 일은 흔한 일이 아니었다. 시민들은 고려대 담장 옆으로 아파트가 높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면서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이후 공업화 정책에 따른 도시인구가 급증하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공급 확충의 필요성이 요구되면서 1962-1972년까지 서울에 4만 세대의 아파트가 건설됐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낙후된 주택문제 해결은 아파트건설 뿐이라며 도시지역은 아파트를 짓고 농촌지역은 주택개량을 하게 했다. 그러면서 아파트는 도시지역은 물론이고 농촌 산간지역으로까지 급속히 번지며 전국이 아파트 천국이 됐다. 전국 745만7000세대 아파트가 있으나 5층 이상 20세대 이상 아파트단지는 모두 2만6331 곳에 이른다. 500세대 이상 단지가 4672개, 150세대 이상 500세대 미만 단지 7843개, 150세대 미만 단지는 1만1916 곳에 이른다. 그야말로 아파트단지 공화국인 셈이다. 아파트단지는 담을 두르고 타인의 출입을 막아 폐쇄적이란 소리를 많이 들어왔다. 집 밖에만 나오면 공공의식이나 공동체의식은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 없는 곳으로 전락했다. 그래서 최근 들어서는 아파트단지를 새롭게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주택관련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공동체 개념의 아파트단지로 거듭나게 해 주거문화를 바꿔보자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행복도시건설청이 획일화된 아파트단지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도시마을 모델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단절된 아파트문화를 바로잡기 위해 행복청이 도입한 새로운 개념의 아파트단지는 공동체단지다. 개별 아파트단지로 단절된 공동체 삶과 문화를 공동체단지를 통해 되살려 보자는 취지다. 행복도시에는 18만 세대의 아파트가 건립될 예정이다. 문제는 이 같은 취지가 성공으로 이어질지가 관건이다. 행복청은 당장 내년 상반기 분양에 들어갈 2-2 생활권 내 공동주택부터 이런 개념을 도입하겠다는 입장이다. 새로운 모델의 성공을 위해 2-2 생활권을 특별건축구역으로까지 지정한 것을 보면 행복청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새로운 개념의 아파트단지 문화가 행복도시에 피어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곽상훈 경제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