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는 김을 매는데 쓰는 연장이다. 끝이 뽀족하고 위는 넓적한 쇠날에 가는 목이 휘어 꼬부라져서 넘어간 부분에 나무 토막을 박아 자루로 삼는다. 요즘도 밭이나 논에서 흔히 쓰이는 친숙한 농기구다.

가래라는 농기구는 흙을 뜨고 파는 데 쓰인다. 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한 몸 끝에 말굽쇠 모양의 쇠 날을 끼웠다. 한 사람이 자루를 잡고 흙을 떠서 밀면 양쪽에서 두 사람이 그 줄을 당겨 흙을 던진다. 예전엔 그 쓰임이 매우 많았지만 요즘은 보기가 쉽질 않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는 속담이 곧잘 인용된다. 커지기 전에 처리했으면 쉽게 해결될 일을 마냥 소홀히 했다가 나중에 곤혹을 치르거나 큰 힘을 들이는 것을 빗댄 표현이다. 그 이면엔 현명치 못한 처신에 대한 비꼼의 속 뜻도 담겨 있다.

서해안 유류 피해 보상 문제와 관련해 삼성중공업측의 행태를 보며 이 속담이 연상케 되는 것은 자업자득의 결과다. 얼마전 국회 유류 특위 위원은 이런 말을 귀뜸했다. "삼성측이 피해민들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보상 문제를 무슨 거래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일단 보상 금액을 쥐꼬리 만치 던져 놓고 주변의 눈치를 보며 조금씩 올리는 것 같다"며 개탄했다.

피해민들의 고통은 외면한 채 마치 장사를 하듯 흥정의 시각으로 보상 문제를 해결하려는 속내가 읽힌다는 것이다. 실제 삼성 중공업 관계자들의 얘기를 들어 봐도 이런 의도가 확연히 감지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이렇게 간과해도 되는 것인 지 자괴감이 들 정도다.

삼성측의 시각이 이러니 피해민들의 눈높이와 엄청난 괴리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최근 제출한 최종안은 여전히 주민들이 요구하고 있는 5000억 원의 수준과는 격차가 매우 컸다. 순수한 출연금도 아니고 지역 지원 사업 500억 원을 포함해 대략 2700-2800억 원 정도가 고작이다. 국회 협의체에서 으름장을 놔가며 되돌려 보낸 끝에 이 정도를 내 놨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국회는 삼성의 해결 의지가 부족하다고 보고 조만간 특위 차원에서 삼성그룹 본사를 방문한다. 이 자리에서 삼성그룹의 책임 이행을 촉구하는 서한도 전달한다. 피해 주민들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어서 유류 피해 투쟁은 한층 본격화 될 전망이다. 삼성측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는 우를 범하는 것은 아닌 지 자성할 일이다. 우명균 서울지사 정치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