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좋아하던 사람과 싫어하던 사람이 있었다. 좋아하던 사람은 일제 앞잡이거나 시대 방관자들이었고, 싫어하던 사람은 일제 정책에 동참하지 않거나 항일운동에 나선 분들이다. 더욱이 무서워하던 분들도 있었으니 그런 분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분이 면암 최익현 선생이다.

최익현(1833-1907) 선생은 경기도 포천에서 태어나 집안이 가난해 단양, 청양 등 여러 지방으로 옮겨 살았다. 부친의 명으로 14세에 성리학의 거두인 화서 이항노의 문인이 돼 우국애민 사상을 이어받았다. 23세인 1855년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사헌부 지평·사간원 정언·이조정랑 등 청요직을 역임했다.

면암은 당시 대원군 탄핵에 앞장서 제주도로 유배되었으며, 1876년 병자수호조약을 반대하며 지부소(도끼를 가지고 상소함)를 올렸다가 흑산도로 유배당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 무효와 을사 5적 처단을 주장하며 항일투쟁에 나섰다. 1906년 1월 충남 논산 노성의 궐리사에서 수백 명의 유림을 모아 시국의 절박함을 호소하고 국권회복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1906년 3월 면암은 가묘에 하직하고, 74세의 고령으로 의병을 일으켜 의병항쟁의 불씨를 점화시키고 `나라가 흥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 우리의 마음을 잃지 않는 데 있으며 국권 없이는 모든 것을 잃는다`는 진리를 가르쳐 일제 강점기 민족운동의 지도이념을 제시했다.

같은 해 6월 4일 태인의 무성서원에서 각지의 유생 및 의병들을 집결시켰으나, 일본 군대가 아니라 조선 군대가 배치되자 눈물을 머금고 자진 해산하여 체포됐다. 서울로 압송돼 일본군사령부가 멀리 대마도에 유배시키자 그곳에서 모든 음식을 거절하고 단식하다 순국했다.

부산에 도착한 영구를 충남 청양 정산면의 본가로 운구하는데 전국에서 몰려든 민중들이 노제로 전송하는 바람에 하루에 10리밖에 운구하지 못했다. 1907년 충남 논산 상월면의 길가에 무덤을 만들었으나 참배객이 많자, 일제는 1910년에 그곳에서 멀리 떨어진 충남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로 옮겼다. 지역 유림들이 1913년에 청양 목면 송암리 생가 옆에 모덕사를 세웠다. 김구 선생이 광복이 되어 27년 만에 귀국한 후 48년 전 승려로 숨어 지냈던 마곡사를 찾고 다음 날 모덕사를 찾아서 민족 정신의 불꽃이 되신 면암을 추모했다.

김문준 건양대 교양학부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정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