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를 포함한 영서북부권 6개 시·군은 서울춘천고속도로와 경춘선 복선전철개통 등으로 인해 사실상 생활권이 같아졌다. 게다가 접경지역의 환경변화가 수시로 진행되면서 지자체간 연계협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해졌다. 이에따라 강원도 춘천시와 홍천, 양구, 화천, 인제, 경기도 가평은 연말을 목표로 상생발전협의체 구성을 추진 중이다. 영서 북부권이라는 동질성을 근거로 하나로 뭉쳐 상호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민주당 김두관 상임고문은 지난 2010년 지방자치사상 유례가 없는 새로운 실험을 시도했다. 당시 경남도지사였던 그는 정당 관계자와 시민·사회단체 대표, 각계 전문가 등이 참여한 민주도정협의회를 출범시킨 것이다. 같은 지역에서 동시대를 살아간다는 공통점을 토대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민관 협력 거버넌스 체계를 꾸려보자는 취지다. 성공여부를 떠나 지역민과 함께하는 열린 도정의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었다는 점만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기 충분하다.

지난 5월 충청권에서도 의미있는 협의체가 출범했다. 충청권 4개 광역단체장과 여야 시도당위원장이 정파를 떠나 충청의 이익을 극대화하자는 취지로 여야 시도당위원장·시도지사협의회(이하 관정협의회)를 만든 것이다. 과학벨트 부지매입비 부담여부를 둘러싼 과학벨트 논란이 최대 화두로 등장한 시점에 지역현안 공동대처를 표방하며 출발했지만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다. 당초 `민(시민단체)`까지 포함한 충청권 민관정협의체를 구상했지만 무산됐고, 국회의장·부의장 참여 여부 및 추진 주체를 놓고도 이견이 표출됐다.

우여곡절 끝에 첫 관정협의회가 열렸지만 시도지사 3명과 새누리당 4개 시도당위원장들이 참석하지 않아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하더니 급기야 이달 13일로 예정됐던 실무자협의회에 새누리당 사무처장단이 불참을 통보하면서 파국 위기에 직면하고 말았다.

이제 각 주체들은 파국의 책임을 서로 떠넘기는 데 급급한 모습인데, 정작 충청인들은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에는 별 관심이 없다. 잘잘못을 떠나 하나로 뭉치지 못한 모든 이들에게 실망하고 있으며, 관정협의회의 거창한 허울에 속았다는 사실만 기억할 뿐이다.

협의체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서로를 배려해야 한다는 지극히 평범한 사실을 왜 유독 지역의 지도자들만 모르는 걸까. 송충원 정치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