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균 산림청 차장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약 64%가 산림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산림 국가다. 하지만 일제의 수탈과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산림은 극도로 황폐해졌다. 일제 말기부터 시작된 전쟁물자 조달, 해방 후 인구증가, 6·25전쟁 그리고 전후복구를 위한 자재수요의 증가, 여기에 국가의 산림관리 기능 실종까지 가세해 산림자원은 더욱 황폐화의 길을 걸었다. 특히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임산연료 이외에는 대체연료가 거의 없어 막대한 양의 나무를 소비했던 우리나라 특유의 온돌문화는 민둥산을 만들어내는 주범이 됐다. 특히 산림의 도·남벌은 마을 주변의 산으로부터 시작해 점차 확대돼 대부분의 산은 민둥산으로 변했다.

하지만 해방 후 국가발전의 원동력을 찾기 위해 정부와 국민이 땀과 정성, 노력으로 나무를 심고 가꿔 온 결과 현재 산림의 피복률은 100%에 가깝다. 황폐된 산림을 녹화하기 위해 1967년 산림청을 개청하고 1·2차 치산녹화 10년계획을 수립해 계획기간보다 5년을 앞당겨 추진한 후 3·4차 산림기본계획기간 동안 약 423만㏊에 108억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정부는 1961년에 '산림법'을 제정해 우선 사방사업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어 치산녹화 7개년 계획(1965-1971), 수계별 산림복구 종합계획(1967-1976), 제1·2차 치산녹화 10개년 등을 세워 치산치수 시책을 추진했다.

경제개발 추진과정에서 산림황폐에 의한 한발·홍수 등이 빈발함에 따라 식량감산과 도로침수·유실 등에 의한 산업생산의 피해가 심각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처럼 산업발전 배후자원으로서 산림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서 산림녹화사업을 추진한 것도 중요한 성공요인이었다.

인적자원 개발과 시민의식 성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근면·자조·협동을 원리로 하는 새마을운동과 치산녹화사업을 연계시킴으로써 마을 주변의 산림을 주민 스스로 협동해 조림·보호하는 체계가 구축됐고, 공동체 단위의 산림계 활동도 활성화 됐다. 마을권 단위의 조림식수가 주민 개개인의 소득과 연계되도록 속성 유실수 위주의 조림을 우선 권장하는 정책도 주효했다.

이렇듯 새마을 운동과 함께 산림녹화에 대한 강력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큰 성과를 거뒀다. 또한 시민의식 성장·국내외 NGO 활동의 증가는 국민에게 산림의 가치를 보다 더 잘 알리고 산림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만들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한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