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취업난 대책은

청년취업난에서 빚어진 20-30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청년층이 20대를 좁은 취업문을 통과하기 위한 '스펙쌓기'에 치중하며 보내면서도 정작 취업의 기회는 쉽게 찾아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취업난에서 벗어나 청년인턴제를 활용해 사회경험을 쌓거나 청년창업에 도전하는 움직임도 눈에 띈다.

정부도 일자리 창출사업의 일환으로 청년인턴제나 청년창업지원사업 등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면서 대학 졸업 후 취업이라는 전형적인 노선에서 탈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청년층이 늘어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실시하는 청년취업인턴제는 구직자와 중소기업간의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턴희망자에게는 우수 중소기업을 알선하고 인턴채용 기업에는 6개월간 월 최대 80만원씩,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매월 65만원씩 6개월간 지원한다.

지난해 중소기업청년취업인턴제를 위탁 실시한 대전지역 기관은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지역본부 등 5개 기관으로 40억원 규모의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직접 창업에 나서는 청년창업가를 위한 지원제도도 매우 다양하다. 중소기업진흥공단 대전지역본부는 지식서비스와 문화콘텐츠, 제조업 분야의 만 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나 창업 3년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지원하고 창업에 필요한 교육, 컨설팅, 일대일 멘토링 등도 제공한다.

대전시와 충남도도 청년창업활성화를 위해 예비창업자 지원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지난 해 대전시는 대학생을 비롯한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창업가 180명을 선정해 창업자금을 지원하고 창업 공간과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시설장비를 무료로 제공하는 등 인큐베이팅도 제공했다. 충남도도 '청년CEO 500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CEO특강, 지식재산권 출원 절차, 마케팅 전략 등 창업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등 청년창업가 양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범규 중진공 대전지역본부장은 "지난 해 청년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하는 등 청년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 기관 등 다양한 현장에서 창업에 매진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며 "창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랜 준비기간을 거쳐 관련 시장을 충분히 파악한 뒤에 창업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나 공공기관은 성숙된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새로 출범할 박근혜 정부가 제시한 경제정책의 핵심이 청년실업 해소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점에서 청년층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심을 끈다.

차기 정부는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오는 2020년까지 대기업과 공공부문의 연평균 근로시간을 400시간 이상 줄이는 '근로시간 단축' 카드를 제시했으며 청년 실업 대책으로 '스펙초월청년취업센터'를 설립, 학력·학점·어학점수·해외연수 등 스펙을 초월한 채용시스템을 정착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청년취업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의 일자리 대책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황명구 충남대 인재개발원 취업팀장은 "채용시스템은 각 기업의 자율성이 보장돼야 하는 만큼 정부가 강제할 수 만은 없다"며 "스펙을 제외한 채로 지원자의 차별성을 발굴하는 데는 또 다른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기업들의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근로시간 단축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현재 일부 기업이 시행중인 임금피크제 등과 맞물려 시행하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예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