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선 이후 정국 ③ 민주당 향후 진로

이번 4·11 총선 결과는 `새누리당의 완승, 민주통합당의 완패`로 정리될 수 있다.

민주당은 총선 이전만해도 원내 과반 의석을 얻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국회 제1당은 물론 통합진보당과 함께 `여소야대`의 국회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정권 말기 심판 여론이 높았고,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이 정국을 강타하면서 호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선 성적표는 127석을 얻는데 그쳤다. 새누리당이 원내 의석의 절반이 넘는 152석을 획득, 민주당은 여소야대는 고사하고 원내 1당의 자리를 내주는 패배로 귀결됐다.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정권 심판론이 작동되지 못했고, 공천 잡음과 선거 막판에 불거진 김용민 후보의 `막말 파문`으로 민심은 돌아섰다.

지도부는 악재들이 터져 나왔지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는 기류도 감지됐다. 또한 야권 연대의 성과를 선거기간 집중적으로 호소했지만 별반 시너지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박지원 최고위원이 "총선이 시작됐을 때 이명박, 박근혜 새누리당 정권에 대해 국민이 심판해야 한다고 나섰지만 민주당은 노력하지 않고 요행을 바랬다"면서 "국민은 준비돼 있는데 마치 감나무 밑에 누워서 감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고 화났을 것"이라고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국민이 냉철하고 준엄한 평가를 내린다는 것이 이번 선거에서도 거듭 확인된 셈이다.

민주당이 이번 선거에서 `차려놓은 밥상`도 제대로 챙겨먹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거센 후폭풍이 불고 있다. 당내 일각에서 지도부 사퇴론이 즉각 제기됐고, 이에 한명숙 대표는 13일 "새로운 변화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제대로 받들지 못한 데 무한 책임을 지겠다"며 대표직을 사퇴했다.

한 대표가 이날 대표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지난 1월 15일 전당대회에서 취임한 이후 89일만에 퇴진하게 됐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지도부 구성과 앞으로의 진로를 놓고 고심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 한 대표에 이어 2위로 최고위원에 오른 문성근 최고위원이 권한 대행을 하는 방안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조기 전당대회를 통한 새 지도부 선출 등 여러가지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당 내부적으로 의견 차가 커 최종 결론이 도출되기에는 다소간의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인적 변화도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대선 국면에서 수권 정당으로서의 체질 개선이 요구된다. 미래 비전을 제시하지 않은 채 과거 심판에만 매달리거나 반사 이익에만 안주해선 안된다는 것이 이번 선거의 메시지다. 민심을 얻기 위해선 시대 정신과 비전, 차별화된 정책 등의 대안 제시가 절실하다는 의미다.

서울=우명균 기자 woomk21@daejonilbo.com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