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브랜드 강화할 수 있는 공공기관 유치해야"
지역 특성·경제적 파급효과 고려한 전략 중요

[그래픽=대전일보DB]
[그래픽=대전일보DB]

정부의 2차 이전 대상 공공기관이 많게는 500여 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전·충남만의 공공기관 유치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나눠먹기식으로 배치된 혁신도시 1기의 부작용을 막고 도시브랜드를 확고히 정립하기 위해서라도, 지역 여건에 부합한 공공기관 이전은 필수적이다. 그래야 혁신도시 취지를 살리고 국가균형발전 시너지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간 유치 경쟁에 이어, 내년 총선까지 맞물린 탓에 정부의 로드맵 발표가 언제쯤 이뤄질 수 있을 진 미지수다. 뒤늦게 혁신도시에 포함된 대전·충남은 일단 정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지역 파급효과가 클 공공기관을 우선 유치할 수 있도록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31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각 시·도는 지역특화 산업과 연계한 공공기관 유치를 위해 전국혁신도시협의회 가입, 우선선택권(드래프트제) 건의 등 공동 행동을 이어가고 있다. 대전역세권지구(동구)와 연축지구(대덕구), 충남 홍성·예산군이 혁신도시에 지정된 이후 별다른 혜택을 보지 못한 만큼, 조속한 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대전시는 일단 과학과 교통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역세권지구는 철도교통 혁신클러스터로, 연축지구는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조성하는 게 목표다. 과학과 교통 공공기관을 한 데 모으는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전은 명실상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품고 있는 과학도시다. 시는 과학도시 위상을 살릴 수 있도록 연축지구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한국나노기술원 등을 유치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과학문화도시 특색을 살릴 수 있는 한국과학창의재단 등도 후보로 거론된다. 대전이 우리나라 교통의 요충지인 만큼 코레일관광개발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도 주요 유치 대상이다. 대전정부청사에 입주한 청 단위 기관과 기상청 등 기상산업 R&D와 연계한 기관들도 지역에 이전할 경우 상당한 시너지가 예상된다.

충남은 드래프트제 적용 기관 13개, 특화기능 공공기관 21개 등 총 34개를 점찍고 있다. 지방 소멸에 대비해 규모가 큰 한국환경공단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회보장정보원, 우체국금융개발원 등을 우선 요구하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해양환경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 특화기능을 살린 공공기관이 주요 대상이다.

충남은 특히 공공기관 우선 이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홍성과 예산의 업무시설용지를 활용해 합동임대청사를 신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 명분이 충분한데도, 지역간 유치 경쟁에 이어 공공기관 반발, 총선 변수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공공기관 이전이 언제쯤 이뤄질 수 있을 진 가늠하기 어렵다. 현재 비혁신도시도 공공기관 배치를 요구하고 있어 험로도 예상된다.

육동일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명예교수는 "충청권 내부에서 유치 공공기관이 중복되지 않은 지 검토해보고, 어떤 기관이 도시브랜드를 강화하는 데 적합한 지 따져봐야 할 것"이라며 "공공기관 이전 후에도 혁신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주여건, 교육 인프라 확충 등의 대안도 선제적으로 고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