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 혁신거점 시범사업' 탈락
대덕특구·KAIST 외 새로운 전략 마련 필요

[그래픽=대전일보DB]
[그래픽=대전일보DB]

대전시가 과학·기술 인프라를 결합한 유치 전략에도 불구하고 정부 공모에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과학·기술을 강조한 간판 전략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새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시범사업지로 부산 센텀시티와 대구 수성알파시티를 선정했다. 민간 평가위원회가 10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입지 적합성, 조성계획 적절성, 지자체 역량·정책의지 등을 고려해 상대 평가한 결과다. 대전시는 일찌감치 공모를 준비해 도전장을 냈지만, 디지털 기업이 이미 입주해 있는 부산 센텀시티와 250여개 디지털 기업이 입주할 예정인 대구 수성알파시티를 넘어서진 못했다.

지역주도 기획사업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디지털 신산업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입지를 선정해 초기 조성비를 지원하는 게 골자다. 선정 지자체에는 국비 63억 원(3년)이 지급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부산과 대구가 디지털 인재와 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최적 입지로 선정됐다"며 "디지털 기업의 집적 현황, 산학연 협력 가능성, 주거·교통·문화 등 정주여건, 지자체 차원의 다년간 자체 조성노력 등에서 민간전문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탈락 성적표를 받은 대전시는 사업 전략을 보완해 내년 재공모에 도전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공모에서 충청권 중 유일하게 1차 서류 평가를 통과했지만, 포항·울산·창원과 함께 통과 관문을 넘지 못했다. 일단 내년 유사공모에서 3개 지자체가 선정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만큼, 전략 보완에 집중할 방침이다.

다만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는 심도 깊은 고민이 뒤따를 전망이다. 이미 대전시는 원도심 부지를 활용,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의 인프라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대전은 정보통신기술(ICT) 소프트웨어 중심 대학은 물론, 미국 'CES 2023'에서 두각을 나타낸 디지털 관련 기업이 집적해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과학기술과 연계한 전략이 대표적이지만, 단골 주제로만 활용된 채 새로운 전략이 부재하다는 건 한계로 지적된다.

앞서 대전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웰니스·의료관광 융복합 클러스터 사업에도 떨어진 바 있다. 시는 대전둘레산길 등 풍부한 산림 자원과 대덕특구, KAIST 등의 과학 인프라를 활용해 사업 계획을 도출했지만, 기존에 관련 사업 경험이 부재했던 탓에 첫 도전에서 소기의 목적 달성에 실패했다. 대전이 보유한 의료·관광 인프라가 약한 것도 한계였다.

새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지역사회와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도 요구된다. 현재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산업통상자원부) 결과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만큼, 역량 결집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대전은 산·학·연·관 협력체계와 연구인프라 활용이 가능한 유일한 도시로 반도체 개발 역사가 30년이 넘는 '반도체 고향'이다. 이미 과학기술 인프라가 충분하지만, 과열 경쟁을 의식한 지역 곳곳에서 막바지 최적지론을 내세우고 있어 지역사회의 총력전이 요구된다.

대전시 관계자는 "과학기술 자원이 장점이기도 하지만, 사실상 대전의 한계이기도 하다"며 "도심융합특구사업 등을 활용한 새 전략을 마련해 내년 공모에 다시 도전하는 한편, 대전만의 강점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