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당진 정유·건설업계 피해 커져
한국타이어 금산 공장 출하량 66% 급감

정부가 시멘트 분야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가운데 지난달 29일 대전 대덕우체국 앞에서 김경선 화물연대 대전지역본부장이 삭발을 하고 있다. 최은성 기자

화물연대 파업이 11일째 접어들면서 대전·충남 등 충청권 지역 산업계에도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4일 충청지역 산업계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의 물류봉쇄가 장기화되면서 정유업계와 건설업계, 자동차·타이어업계 등의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충남 서산의 경우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기업들 피해가 심상치 않다. 화물연대 총파업이 시작되고 이날까지 11일째 대산석유화학단지 현대오일뱅크 공장 정문 앞은 전국 각지로 가야 할 탱크로리들이 멈춰 서있는 상태다. 하루 평균 150대에서 200대 가량 탱크로리가 운행됐었지만 현재는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 비노조원의 운행 참여도 저조해 실질적으로 육상 출하는 거의 되지 않고 있다. 경찰은 인력 20명을 현장 배치해 노조원과의 충돌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롯데케미칼과 한화토탈 등 다른 석유화학분야 기업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롯데케미칼은 하루 3000t 정도의 석유화학제품을 출하했지만 현재 700-800t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야적을 시작한 LG화학과 한화토탈 등도 제품 출하가 계속 중단되면 일부 공장의 생산량을 줄이거나 가동을 멈춰야 할 상황이다.

충남 당진은 레미콘 공급 차질로 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당진에는 레미콘 공장 12곳이 있지만, 시멘트 운송 차질로 인해 현재 2-3곳만 가동 중이다. 이로 인해 현재 수청 1·2지구와 송악읍 기지시리 등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중흥, 호반2-3차, 문장건설 1차, 대우 푸르지오 아파트 등 건설이 지연되고 있다.

A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재고가 바닥나 공장가동을 멈추고 있다"며 "공사가 늦어지면 인건비 등 비용이 가중되면서 결국 발주처에 불어난 비용 등을 청구하게 될 수밖에 없다. 업자의 피해도 크지만, 가장 큰 피해는 아파트 입주자를 포함한 당진시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레미콘 공급을 아직까지 이어오고 있는 공장 2-3곳도 상황이 여의치 않다. 비조합원 차량으로 경찰의 호위를 받아 시멘트를 공급받고 있지만 그 양이 하루 100㎥(루베)를 생산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난 1일에는 평택항에서 비조합원의 시멘트 운송을 막기 위해 화물연대 200여 명이 비조합원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대전지역의 레미콘업체 피해도 극심하다. 대전 대덕구 대화동 소재 B레미콘 대전공장은 화물연대 파업 전까지 시멘트 운반 차량인 벌크시멘트트레일러가 하루 평균 3-4대가 들어와 일일 1000루베 내·외의 레미콘을 지역 공사현장에 공급했다. 하지만 지난달 29일부터는 하루 250루베로 레미콘 공급을 줄여 내보내고 있다.

대전의 한 레미콘업체 관계자는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레미콘 원료인 시멘트 공급이 안돼 부득이하게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며 "파업이 길어지면 공기에 차질을 빚는 사업장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토로했다.

충남 금산과 아산에 위치한 자동차·타이어업계는 파업 장기화로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타이어 금산공장은 타이어를 적재한 컨테이너 출하량이 540t 60대에서 파업 후 180t 20대로 66.6% 감소했다. 아산의 자동차회사 1일 평균 출고량도 900대 수준에서 파업 후 160대로 82%나 급감했다.

정유업계의 피해는 현실화 돼 시민들이 직접 불편을 겪는 상황까지 직면했다. 이날 오후 2시 기준 전국 품절 주유소는 총 88곳으로 충남 10곳, 충북 6곳, 대전 3곳 등 기름 품절 사태가 수도권에서 시작돼 충청권까지 확대되고 있다. 

대전에서도 '품절' 안내문을 게시한 주유소 몇 곳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는 이르면 5일 시멘트 분야에 이어 정유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본사종합]

본사종합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