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1팀 진나연 기자
취재1팀 진나연 기자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지역 최대 숙원사업 중 하나다. 이달 착공하는 서울 위례선 트램과 달리 국내 첫 사례로 시작, 26년 동안 첫 삽도 못 떴으니 착공 소식을 기다리는 대전시민들의 갈증은 물론 답답함도 크다.

하지만 지역사회 여론은 아직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을 두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꼭 트램으로 추진해야 하는 지, 대전에 적합한 방식인 지 관해서다.

첫 번째 의문에 대한 답은 건설방식을 바꿀 경우 착공 시점을 장담할 수 없다는 데 있다. 현재의 트램 방식은 2014년 6월 확정, 2019년 1월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에 선정됐으며 이후 차량기지·노선계획 수립, 기본 및 실시설계 등 수많은 절차를 추진해왔다. 일각에서 요구하는 지하철로 변경하면 이 같은 행정절차를 처음부터 또다시 되풀이해야 한다. 사업비도 트램은 km당 400억 원, 일반 지하철은 1200억 원으로 3배 정도 더 든다.

현재 대전은 전국 6개 주요도시(서울·인천·부산·대구·광주·대전) 중 인구 1만 명당 도시철도 차량 대수가 최하위로 상대적으로 시급성을 요한다. 총사업비 조정과 기본계획 변경, 실시설계를 원활하게 마무리, 2024년부터 공사를 시작한다고 해도 2028년에 이르러서야 2호선을 개통할 수 있다.

도시재생, 메가시티 형성과 교통약자 지원 등 측면에서 두 번째 의문도 해소할 수 있다. 원도심을 아우르는 트램 노선을 따라 7대 트램 역세권 중심 핵심기능벨트가 구축, 경제·문화·관광 등 가로환경을 특화해 도시균형발전을 촉진하게 된다. 또 트램은 충청권 광역철도, 대전-옥천 광역철도,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등과 맞물려 충청권과 대전을 연결하는 중요 환승거점이다. 지하로 오르내릴 필요가 없어 노인과 장애인, 어린이 등 교통약자 지원 측면에서도 효과가 높다.

이처럼 '추진 속도', '연계 효과' 등을 고려, 트램 건설에 더 이상 혼선이 있거나 좌고우면해선 안되는 것이다. 조만간 본격사업 추진을 위한 마지막 고비, 총사업비 협의를 앞두고 있다. 하루 빨리 첫 삽을 떠야 한다는 한 뜻으로 지역사회가 의지를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