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2팀 정민지 기자
취재 2팀 정민지 기자

시간·가격 대비 큰 효율을 보이는 온라인 구매는 바쁜 현대인들의 주요 쇼핑 창구로 자리잡았다. 정보화 시대 속 코로나19라는 특수성까지 더해 e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다. 최대한 많은 수요자를 선점하고자 보다 빠르게, 보다 값싸게, 보다 많은 품목을 내놓는 등 e커머스 시장 속 경쟁도 연일 치열해진다.

요즘 같은 쇼핑몰 과공급 현상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환경인 반면 오프라인 업체들에겐 그야말로 암흑기다. 내로라하는 지역 대형 유통업체들도 큰 타격을 받은 만큼 지역 영세 소상공인들은 쇠퇴의 기로에 서 있다. 시장 경제에선 경쟁력 있는 업체가 살아남는 게 당연한 이치라 할 수 있지만 지역을 위해 자리하는 공공기관은 달라야 하지 않을까.

"인터넷 구매가 활성화되다 보니." 최근 진행된 대전시교육청 대상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외지업체를 통한 본청·학교 물품 구매 실적이 많은 이유에 대해 시교육청 측이 내놓은 답변이다. 지역경제 발전 기여를 목적으로 2017년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조례까지 제정한 시교육청 측에서 나올 적절한 답안지는 아니다.

구매 금액 규모가 큰 건들은 관련 지역업체가 없다는 이유로, 비교적 자잘한 규모인 소모품류 등은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됐다는 이유로 지역업체가 소외되는 현상은 당연시되고 있다. 시교육청이 아무리 중소기업 제품 구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어도, 물품선정위원회 시 지역업체에 가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운영기준을 개정해도 눈에 띌 만한 지역업체 우선 구매 조치는 보기 힘들다.

지역업체 우선 구매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선 권장·안내 조치로는 미약하다. "노력하고 있다"는 말만으론 부족하다. "(지역업체 우선 구매는)의무사항이 아니다"라는 말은 책임회피에 가깝다. 제도 마련 등 적극적인 자세는 쉽게 나오지 않는다. 지역을 위해 존재한다면 행정상 편의보단 지역경제 활성화를 우선시해야 한다. 편의에 머물러 있다면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도 조금의 신경을, 조금의 성의를 바라긴 어렵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