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팀 정인선 기자
취재2팀 정인선 기자

채용 소식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희망과도 같다. 우수인재를 기대하는 기업이나 기관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준비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서, 또 준비한 만큼 선발되기 위해서 지원자나 심사위원 모두 신중을 기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이에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사회 지도층이 연루된 '채용 비리'가 잊을만 하면 수면위로 드러나면서 사회의 공정한 경쟁 자체를 뿌리째 흔들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보장한다는 취지로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했다. 이는 주로 석·박사 인력을 채용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도 적용됐다.

하지만 곧바로 연구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처사라며 반발이 터져 나왔고, 오히려 '걸림돌'이라는 평가까지 나왔다. 불합리한 차별을 없앤다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지원자의 연구역량을 평가하는 데 한계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실제 섬유공학 부문에 다른 전공자가 채용되거나, 플라즈마 연구에 이 장치를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인력이 채용되는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가급 국가시설인 원자력연구원에 중국 국적자가 뽑혔다가 불합격 처리되는 어처구니 없는 일도 발생했다. 현장에서는 응시자 논문 검색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학교 정보를 유추하기도 했다. 행정직은 가능할 지 몰라도 연구직은 짧은 면접 탓에 역량을 제대로 판단할 수 없다는 아우성도 속출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국책 연구기관에 한해 이 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나섰지만, 연구계의 '환영' 반응과 달리 일각에서는 학연·혈연·지연에 따른 공정성 훼손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관련 기사·칼럼에 달린 댓글에서도 일각의 부정적인 반응을 엿볼 수 있다. 애로사항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채용비리로 몸살을 앓아왔던 국정 분위기상 국민적 공감대도 필요해 보인다.

대통령이 폐지를 공언한 뒤로 채용제도 개선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공정성 취지를 살리되, 과학기술이 국력인 시대를 맞아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를 투명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는 것도 필수다. 그 과정에서 공정이 통하는 세상이 될 수 있도록, 정부의 노력도 수반돼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