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 3축 체제 촉구한 이장우 대전시장.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 우주산업 클러스터 중 연구·인재 개발 특화지구 후보지로 선정됐다고 한다. 정부가 최근 우주개발진흥실무위를 열어 전남과 경남에 이어 대전을 클러스터에 추가하는 내용의 '우주산업 클러스터 계획 수정안'을 확정한 것이다. 대전은 당분간 후보지 꼬리표가 붙겠지만 사실상 특화지구로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다. 사업계획서 검토와 국가우주위원회의 특화지구 지정 등 가벼운 통과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고 보면 된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당연한 귀결이 아닐 수 없다. 이래저래 우여곡절이 많았는데 결국 전남의 발사체, 경남의 위성에 이어 대전을 연구·인재 개발 특화지구로 지정키로 했다니 천만다행이다. 대전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3개 대학에서 우주 관련 전문교육이 이뤄지고 있고, 항공우주연구원·천문연구원·전자통신연구원·국방과학연구소 등 우주 관련 13개 연구기관과 60여 개 우주 관련 기업이 포진해 있다. 이런 곳을 배제하고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말하는 게 이상할 정도다. 그런데도 과기정통부는 한동안 대전을 쏙 빼고 전남과 경남 2축 체제를 고집해 '대전 패싱'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어찌 됐거나 정부가 추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은 대전이 특화지구에 포함되면서 더욱 안정감을 갖게 됐다. 대전을 중심으로 3개 특화지구 간 유기적 상호 연계와 협업을 강화하면 동반 상승효과를 창출할 수도 있다. 전남의 발사체 특화지구는 발사체 산업단지 및 종합지원센터 구축, 민간 전용 발사체 발사장 및 엔진 연소시험장 구축 등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갖고 있다. 경남의 위성 특화지구도 위성 산업단지 및 종합지원센터 구축, 궤도·발사·전자파 등 우주환경 실험 시설 확충 등을 담고 있다.

여기에 비해 후발 주자인 대전은 클러스터의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상태다. 과기부가 제시한 우주 분야 미래 선도형 연구개발, 우수 연구인력 양성 등 막연한 목표는 잘 와닿지 않는다. 대전시는 지역의 우주산업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 대전만의 특장점을 살린 사업계획과 콘텐츠를 내놓아야 한다. 어렵게 그릇을 만들었고 이제는 그 그릇에 무엇을 담을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단순히 클러스터에 이름만 올리는 식이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