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데이 인 뉴욕 행사에 참석, 축사를 하고 있는 이장우 대전시장.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추진 중인 '스타트업(Start up) 2000개 육성'이 관련 인프라 조성 지연과 컨트롤 타워 부재 등으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2000년 초 세계적인 초인류 첨단 IT기업 탄생 신화를 쓴 실리콘밸리에서 신생·벤처 기업을 일컫던 것으로, 혁신형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초기 창업 기업을 가리킨다. 시는 지난 2018년 9월 민선 7기 핵심 공약으로 '기술기반형 창업 생태계 구축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5년 생존기업 500개를 창출해 4년 간 2000개 기업을 육성하고, 최종적으로 지역 내 일자리 1만 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특히 창업지원·네트워킹·주거·문화·복지 등 여건을 갖춘 체류형 창업공간 구축을 위해 권역별로 5대 거점 스타트업 타운 조성 계획도 담았다.

하지만 4년이 지난 현재 스타트업 육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창업기업들의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역할을 할 권역별 스타트업 타운 등 기반시설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데다 해당 사업을 이끌고 갈 컨트롤타워도 사실상 없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시가 현재 추진 중인 권역별 스타트업 타운은 모두 5곳으로, 당초 내년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2024년 말로 연기됐다. 시 안팎에선 민선 8기 대전시장이 바뀌며 전임 시장의 공약 사업이란 점 등 때문에 자칫 주요 정책에서 외면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시 일각에서는 조직개편 등으로 사업 자체가 흐지부지되면서 용두사미에 그칠 것이란 얘기마저 나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을 방문한 이장우 대전시장은 KAIST 내 500개 스타트업 공간 마련 계획을 밝혔다. 이 시장은 지난달 미국 뉴욕 방문에서 대전시가 KAIST 본원 1만㎡ 부지에 500개 지역 스타트업이 입주할 수 있는 '창업지원센터'를 설립하겠다고 했다. 부지는 KAIST가 제공하고, 사업비는 국·시비를 투입한다는 것이다. 스타트업 기업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잘 조성된 생태계와 대전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글로벌 기업으로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타트업 기업들을 통한 대전의 새로운 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선 '장밋빛 구호'보다는 정책적 지원 등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